"가정신앙"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새 문서: =='''개요'''== 가정신앙은 집안을 지켜주는 가정신을 모시는 신앙을 말한다. 가정신앙은 가정 단위의 신앙으로 주거와 밀접한 관련을...)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개요'''== | =='''개요'''== | ||
− | 가정신앙은 집안을 지켜주는 [[가정신]]을 모시는 신앙을 말한다. 가정신앙은 가정 단위의 신앙으로 주거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서 주거공간이라는 배경 위에서 성립된 가장 실제적인 민간신앙이다. 또한 주거공간과 가족구성원을 필수요소로 갖추고 있다. | + | 가정신앙은 집안을 지켜주는 [[가정신]]을 모시는 신앙을 말한다. 가정신앙은 가정 단위의 신앙으로 주거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서 주거공간이라는 배경 위에서 성립된 가장 실제적인 민간신앙이다. 또한 주거공간과 가족구성원을 필수요소로 갖추고 있기 때문에, 집을 배제하면 신앙으로서의 의미를 파학할 수 없다. 가정신앙은 한 가족 구성원들이 복과 안녕을 [[가정신]]께 빌고 바라는 신앙이기 때문에 신의 주소가 가옥 안에 있으며, [[가정신]]은 곧 가족구성원의 가족체계을 따라 [[성주신]]은 가장, [[조왕신]]은 어머니와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가정신]]을 모시는 사제자는 주로 가정주부가 된다. |
+ | |||
+ | 가정신앙은 <[[신과 함께-이승편]]>에 의 배경 개념으로 등장한다. <[[신과 함께-이승편]]>에서는 기본적으로 현대 사회를 가정신앙의 위기라는 전제하에 스토리를 전개한다. 왜냐하면 전통 가옥에서 현대의 주거 형식으로 변화하면서 우리는 전통 가옥에 있던 측간, 부뚜막, 열린 문 등이 모두 사라졌으며, 또 가정신앙에서 '사제자'로 여기는 주부조차 아무도 [[가정신]]을 섬기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가정신앙은 하나의 미신으로 전락했으며, 그에 따라 [[가정신]]들은 모두 설 자리를 잃고 있다고 볼 수 있다. | ||
=='''성격'''== | =='''성격'''== | ||
9번째 줄: | 11번째 줄: | ||
*[[가정신]]이 곧 가족구성원의 상징적인 질서체계이다. | *[[가정신]]이 곧 가족구성원의 상징적인 질서체계이다. | ||
*사재자는 주로 가정주부가 된다. | *사재자는 주로 가정주부가 된다. | ||
+ | |||
=='''클래스'''== | =='''클래스'''== | ||
− | * | + | * 배경개념 |
+ | |||
+ | |||
+ | =='''관련 문서'''==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 !style="width:250px"|이 문서||style="width:200px"|관계||style="width:250px"|관련 문서 | ||
+ | |- | ||
+ | |가정신앙||은 ~에 속해있다.||한국 민속 신앙 | ||
+ | |- | ||
+ | |가정신앙||은 ~을 포함한다.||[[가정신]] | ||
+ | |- | ||
+ | |가정신앙||은 ~의 배경이 된다.||<[[신과 함께-이승편]]> | ||
+ | |} | ||
− | ==''' | + | =='''참고'''== |
*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 웹툰<신과 함께-이승편>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70-93p. | *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 웹툰<신과 함께-이승편>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70-93p. | ||
+ |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
=='''기여'''== | =='''기여'''== |
2016년 6월 22일 (수) 20:01 기준 최신판
개요
가정신앙은 집안을 지켜주는 가정신을 모시는 신앙을 말한다. 가정신앙은 가정 단위의 신앙으로 주거와 밀접한 관련을 갖고서 주거공간이라는 배경 위에서 성립된 가장 실제적인 민간신앙이다. 또한 주거공간과 가족구성원을 필수요소로 갖추고 있기 때문에, 집을 배제하면 신앙으로서의 의미를 파학할 수 없다. 가정신앙은 한 가족 구성원들이 복과 안녕을 가정신께 빌고 바라는 신앙이기 때문에 신의 주소가 가옥 안에 있으며, 가정신은 곧 가족구성원의 가족체계을 따라 성주신은 가장, 조왕신은 어머니와 같이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가정신을 모시는 사제자는 주로 가정주부가 된다.
가정신앙은 <신과 함께-이승편>에 의 배경 개념으로 등장한다. <신과 함께-이승편>에서는 기본적으로 현대 사회를 가정신앙의 위기라는 전제하에 스토리를 전개한다. 왜냐하면 전통 가옥에서 현대의 주거 형식으로 변화하면서 우리는 전통 가옥에 있던 측간, 부뚜막, 열린 문 등이 모두 사라졌으며, 또 가정신앙에서 '사제자'로 여기는 주부조차 아무도 가정신을 섬기는 사람이 없기 때문이다. 현재 가정신앙은 하나의 미신으로 전락했으며, 그에 따라 가정신들은 모두 설 자리를 잃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성격
- 신체가 가옥 안이다.
- 신앙의 목적이나 태도에 있어 배타적이다.
- 가정신이 곧 가족구성원의 상징적인 질서체계이다.
- 사재자는 주로 가정주부가 된다.
클래스
- 배경개념
관련 문서
이 문서 | 관계 | 관련 문서 |
---|---|---|
가정신앙 | 은 ~에 속해있다. | 한국 민속 신앙 |
가정신앙 | 은 ~을 포함한다. | 가정신 |
가정신앙 | 은 ~의 배경이 된다. | <신과 함께-이승편> |
참고
- 정수희, 「전통문화콘텐츠의 현대적 활용 - 웹툰<신과 함께-이승편>을 중심으로」, 문화콘텐츠연구 제2호, 건국대학교 글로컬문화전략연구소, 2012, 70-93p.
-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기여
- 김하늘: 처음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