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수성"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사후 추모사업)
 
(같은 사용자에 의한 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clickable button|[[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2022 가을 학술답사|2022 가을 답사]]}}
 
{{clickable button|[[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문정보학과 2022 가을 학술답사|2022 가을 답사]]}}
 
 
{{인물정보2
 
{{인물정보2
 
|사진=
 
|사진=
10번째 줄: 9번째 줄:
 
|이칭=
 
|이칭=
 
|시호=
 
|시호=
|호=경호(鏡湖)·조은(釣隱)
+
|호=원정(猿亭)·북해거사(北海居士)·경포산인(鏡浦山人)
|자=백경(伯卿)
+
|자=가진(可鎭)
|출생일=1390년 6월 19일
+
|출생일=1487년
|사망일=1440년 12월 27일
+
|사망일=1521년 10월 21일
 
|출생지=
 
|출생지=
 
|사망지=
 
|사망지=
 
|시대=조선
 
|시대=조선
 
|국적=조선
 
|국적=조선
|대표저서=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
|대표저서=
|대표직함=참판
+
|대표직함=
 
|학력=
 
|학력=
 
|직업=
 
|직업=
 
|배우자=
 
|배우자=
|부=최안린(崔安麟)
+
|부=생원 최세효(崔世孝)
|모=정선전씨 낭장(郎將) 전인구((全仁具)의 딸
+
|모=철원최씨 승지 철관(哲寬)의 딸
 
|자녀=
 
|자녀=
 
|상훈=
 
|상훈=
31번째 줄: 30번째 줄:
 
|유형=
 
|유형=
 
}}
 
}}
 
+
'''최수성'''(崔壽峸, 1487년 ~ 1521년 10월 21일)은 강릉 십이향현 중 일인인 조선의 학자이다.
'''최치운'''(崔致雲, 1390년 6월 19일 ~ 1440년 12월 27일)은 강릉 십이향현 중 일인인 조선의 문신이다.
+
  
 
==생애==
 
==생애==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가진(可鎭), 호는 원정(猿亭)·북해거사(北海居士)·경포산인(鏡浦山人). 치운(致雲)의 증손자로 생원 세효(世孝)의 아들이다.
+
[[최수성]]은 조선전기 신사무옥과 관련된 학자이자 화가이다. 필달의 20세 손으로 강릉 출신인데, 만년에 경기도 평택 진위(振威)의 남탄현(南炭峴)에 살았다. 자는 가진(可鎭)이고, 호는 원정(猿亭)·북해거사(北海居士)·경포산인(鏡浦山人)이다. [[최치운]]의 증손자로 생원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모친은 철원 최씨로 승지(承旨)를 지낸 철관(哲寬)의 딸이다.
김굉필(金宏弼)의 문하에서 배출된 신진사림파(新進士林派) 학자로서 조광조(趙光祖)·김정(金淨) 등과 교유하였다.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 때 친구들이 당하는 것을 보고 벼슬을 아예 포기하고 술과 여행, 시서화(詩書畫), 음악으로 일생을 보냈다. 1521년 35세 때 신사무옥에 연루되어 처형되었다.
+
 
남탄현(南炭峴)에 집을 마련해서 원숭이를 길들여 함께 살았으며 원정이라는 아호는 그 것에서 연유하였다. 젊어서부터 세속을 멀리하여 명산승경을 유람하며 술과 거문고, 시를 즐겼고 뜻이 맞는 교우들과는 만남에서 화흥(畫興)을 폈다.
+
[[최수성]]은 4~5세에 이미 문장을 지을 줄 알았고 10세에 이르러 문장이 대성하였다. 특히 시와 그림에 능했는데, 그가 지은 시는 속세를 벗어난 것같이 맑고 깨끗하였다. 기묘명현이었던 김정(金淨)은 일찍이 [[최수성]]의 시를 사랑하여 “이 사람이야말로 영원히 이름을 시문학에 남길 사람”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문장·시·서화·음률이 모두 뛰어난 절세의 기재(奇才)로 평가되었으나 유작은 알려져 있지 않다. 인종 때 신원(伸寃)되어 영의정에 추증되었으며, 강릉의 향사(鄕祠)에 제향되었다. 시호는 문정(文正)이다.
+
  
 +
[[최수성]]은 [[김굉필]]의 문하에서 배출된 신진사림파(新進士林派) 학자로서 [[조광조]]·김정 등과 교유하였다.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로 동지들이 처형당하는 것을 보고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술과 여행, 시서화(詩書畫), 음악으로 일생을 보냈다.
  
==저술==
+
남탄현(南炭峴)에 집을 마련해서 원숭이를 길들여 함께 살았으며, 원정이라는 아호는 그것에서 연유하였다. 젊어서부터 세속을 멀리하여 명산승경을 유람하며 술과 거문고, 시를 즐겼고 뜻이 맞는 교우들과는 만남에서 화흥(畫興)을 폈다.
1438년 11월 백성들이 원통한 일이 없게 하라는 세종의 명으로 이세형(李世衡)·변효문(卞孝文)·김황(金滉) 등과 함께 왕여(王輿)가 1341년(충혜왕 후 2) 편찬한 법의학서인 『무원록(無寃錄)』을 주해하여 『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을 편찬하는 등 학문 정비에 기여하였다.
+
  
『신주무원록』은 옥사(獄事)에 관한 검시 지침서의 역할을 수행하였는데, 1442년(세종 24)에는 모든 검시 법으로 하여금 『신주무원록』을 따르게 하였고, 『경국대전』 단계에 이르서는 조선의 공식 법의학서로 규정될 정도로 널리 사용되었다.
+
중종 16년(1521) 35세 때 신사옥사(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사형되었다.
 +
문장·시·서화·음률이 모두 뛰어난 절세의 기재(奇才)로 평가되었으나 유작은 알려지지 않았다.
  
==여담==
+
==사후 추모사업==
술을 아주 즐겼는데 왕이 친서로써 절제할 것을 명하자, 그 글을 벽에 걸고 출입 시 항상 쳐다보았다고 한다.
+
최수성은 중종 35년(1540)에 신원(伸冤)되어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고 문정공(文正公)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인종 원년(1545)에 의정부 영의정에 더 추증되었다. 선조 11년(1578)에는 [[율곡 이이|율곡]]이 선조에게 계청(啓請)하여 불천위(不遷位)의 명이 내렸고, 인조 23년(1645)에는 최치운, 최응현, 박공달, 박수량, 최운우와 함께 [[향현사|강릉 향현사]]에 배향되었다. 현재 [[삼현비각|강릉 삼현비각]]에 [[최치운]], [[최응현]], [[최수성]]의 신도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참고==
 
==참고==
53번째 줄: 51번째 줄:
 
* 박도식, 『강릉의 12향현 자료집』, 강릉문화원, 2004.
 
* 박도식, 『강릉의 12향현 자료집』, 강릉문화원, 2004.
 
===웹사이트===
 
===웹사이트===
* [https://local.nculture.org/xrcy1 지역N문화:강릉의 12향현 자료집]
+
* [http://dh.aks.ac.kr/sillokwiki/index.php/최수성(崔壽峸) 실록위키:최수성(崔壽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77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최치운(崔致雲)]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57415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최수성(崔壽峸)]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33388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신주무원록(新註無寃錄)]
+
* [https://www.gn.go.kr/www/contents.do?key=649 강릉시청:최수성(崔壽峸)]
* [https://www.gn.go.kr/www/contents.do?key=642 강릉시청:최치운(崔致雲)]
+
* [http://gangneung.grandculture.net/gangneung/toc/GC00301945 강릉디지털문화대전:삼현비각]
  
 
[[분류:인물]]
 
[[분류:인물]]
 +
[[분류:강릉12향현]]

2022년 10월 18일 (화) 10:30 기준 최신판

2022 가을 답사

최수성(崔壽峸)
대표명칭 최수성
한자표기 崔壽峸
출생일 1487년
사망일 1521년 10월 21일
본관 강릉(江陵)
원정(猿亭)·북해거사(北海居士)·경포산인(鏡浦山人)
가진(可鎭)
시대 조선
국적 조선
생원 최세효(崔世孝)
철원최씨 승지 철관(哲寬)의 딸


최수성(崔壽峸, 1487년 ~ 1521년 10월 21일)은 강릉 십이향현 중 일인인 조선의 학자이다.

생애

최수성은 조선전기 신사무옥과 관련된 학자이자 화가이다. 필달의 20세 손으로 강릉 출신인데, 만년에 경기도 평택 진위(振威)의 남탄현(南炭峴)에 살았다. 자는 가진(可鎭)이고, 호는 원정(猿亭)·북해거사(北海居士)·경포산인(鏡浦山人)이다. 최치운의 증손자로 생원 최세효(崔世孝)의 아들이며 모친은 철원 최씨로 승지(承旨)를 지낸 철관(哲寬)의 딸이다.

최수성은 4~5세에 이미 문장을 지을 줄 알았고 10세에 이르러 문장이 대성하였다. 특히 시와 그림에 능했는데, 그가 지은 시는 속세를 벗어난 것같이 맑고 깨끗하였다. 기묘명현이었던 김정(金淨)은 일찍이 최수성의 시를 사랑하여 “이 사람이야말로 영원히 이름을 시문학에 남길 사람”이라고 높이 평가하였다.

최수성김굉필의 문하에서 배출된 신진사림파(新進士林派) 학자로서 조광조·김정 등과 교유하였다. 1519년(중종 14) 기묘사화로 동지들이 처형당하는 것을 보고 벼슬을 그만두고 낙향하여 술과 여행, 시서화(詩書畫), 음악으로 일생을 보냈다.

남탄현(南炭峴)에 집을 마련해서 원숭이를 길들여 함께 살았으며, 원정이라는 아호는 그것에서 연유하였다. 젊어서부터 세속을 멀리하여 명산승경을 유람하며 술과 거문고, 시를 즐겼고 뜻이 맞는 교우들과는 만남에서 화흥(畫興)을 폈다.

중종 16년(1521) 35세 때 신사옥사(辛巳誣獄)에 연루되어 사형되었다. 문장·시·서화·음률이 모두 뛰어난 절세의 기재(奇才)로 평가되었으나 유작은 알려지지 않았다.

사후 추모사업

최수성은 중종 35년(1540)에 신원(伸冤)되어 의정부 좌찬성 겸 판의금부사에 추증되고 문정공(文正公)이라는 시호를 받았으며, 인종 원년(1545)에 의정부 영의정에 더 추증되었다. 선조 11년(1578)에는 율곡이 선조에게 계청(啓請)하여 불천위(不遷位)의 명이 내렸고, 인조 23년(1645)에는 최치운, 최응현, 박공달, 박수량, 최운우와 함께 강릉 향현사에 배향되었다. 현재 강릉 삼현비각최치운, 최응현, 최수성의 신도비가 나란히 세워져 있다.

참고

도서

  • 박도식, 『강릉의 12향현 자료집』, 강릉문화원, 2004.

웹사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