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향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진자료)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강원도 | + |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향교이다. 고려시대 후기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 김승인(金承印)이 설립한 교육시설이며 1985년 1월 17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99호 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 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
==위치== | ==위치== | ||
− | <googlemap width="700" height="200" lat="37. | + | <googlemap width="700" height="200" lat="37.7634" lon="128.8948" type="normal"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 | 37. | + | 37.7634, 128.8948, [[강릉향교]] |
</googlemap> | </googlemap> | ||
==내용== | ==내용== | ||
− | + | <br>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향교이다. | |
− | + | ||
− | + | ||
− | <br> | + | |
===개요=== | ===개요=== | ||
− | + |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고려시대 후기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 김승인(金承印)이 설립한 교육시설이다. | |
− | + | ||
− | + | ||
===인물=== | ===인물=== | ||
− | + | 고려 충선왕 5년(1313년)에 처음 세운 후 조선 태종 11년(1411년)에 화재로 없어진 것을 태종 13년(1413년)에 다시 지었다. | |
− | + |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고려 김승인(金承印)이 존무사(存撫使)가 되어, 화부산(花浮山) 밑에다가 처음으로 학사(學舍)를 창설하였다.”고 하였다.<ref>'[https://db.itkc.or.kr/dir/item?itemId=BT#/dir/node?dataId=ITKC_BT_B001A_0450_010_0020&solrQ=query 한국고전종합DB 『신증동국여지승람』]', 한국고전종합DB, 2022년 10월 6일</ref> | |
− | + | 인조(재위 1623∼1649) 때 크게 늘려지어 웅장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 |
− | + | ||
− | + | ||
===건물=== | ===건물=== | ||
− | + | 향교는 배향공간의 중심 건물이 대성전이고, 강학공간의 중심건물인 명륜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산임수형 대지에 남쪽으로 축대와 계단이 있고, 그 위에 정문과 막돌 담장이 둘러싸고 있다. 경내에는 문묘에 속하는 대성전, 동서무, 전랑 이 있으며, 향교에 속하는 명륜당과 동서재가 있다. 전면 11칸, 측면 2칸 규모의 명륜당 전면 좌측에는 “향교 묘정비(鄕校廟庭碑)”가 있고, 그 좌측에 “금리 민공 성인비(錦里閔公成仁碑)”가 있다. 동서 재는 전면 5칸과 측면 2칸의 규모를 각각 갖추고 있으며, 명륜당 내에는 “명륜당 중수기(明倫堂重修記)”와 “성전 중수기(聖殿重修記)” 등 다수의 현판이 게판되어 있다. | |
− | + | ||
− | + | ||
===의의=== | ===의의=== | ||
− | + | 조선시대에는 나라로부터 토지와 책·토비 등을 지급 받아 운영하였다.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으나, 명륜고등학교를 향교에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 |
− | + | 소장되었던 책은 한국전쟁으로 대부분 불타 없어졌으며, 현재 『공부자성적도』 등 70여 권만 남아있다. | |
− | === | + | ===관련 의식=== |
− | + |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에 가장 전통적인 유교식 제례를 올린다. | |
− | + | ||
==사진자료== | ==사진자료==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 | <gallery mode=packed heights=180px > | ||
− | File: | + | File:강릉향교(전경).jpg | |
− | File: | + | File:강릉향교(명륜당).jpg | |
− | File: | + | File:강릉향교(동재).jpg | |
− | File: | + | File:강릉향교(서재).jpg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gallery> | </gallery> | ||
− | |||
−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culPageNo=1®ion=1&searchCondition=%EA%B0%95%EB%A6%89%ED%96%A5%EA%B5%90&searchCondition2=&ccbaKdcd=21&ccbaAsno=00990000&ccbaCtcd=32&ccbaCpno=2113200990000&ccbaCndt=&ccbaLcto=&stCcbaAsdt=&endCcbaAsdt=&header=view&returnUrl=%2Fheri%2Fcul%2FculSelectViewList.do&pageNo=1_1_1_0&p=multiSch&sortType=&sortOrd=&sngl=Y&s_kdcdArr=00&s_ctcdArr=00&ccbaPcd1Arr=99&ccbaGcodeArr=00 강릉향교]', 문화재청, 2022년 10월 6일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 | + | *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1127 강릉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10월 6일 |
− | * | + | * 강릉대학교 박물관(1995), 『강릉의 역사와 문화유적』 |
− | +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2022년 10월 6일 (목) 21:29 기준 최신판
강릉향교 | |
---|---|
지정 번호 | 강릉시유형문화재 제99호 |
지정일 | 1985년 1월 17일 |
지정 명칭 | 강릉향교 |
한자 명칭 | 江陵鄕校 |
영문 명칭 | Gangneung Hyanggyo |
분류 | 유적건조물 / 교육문화 / 교육기관 / 향교 |
건립·제작 | 고려시대 14세기 |
주소 | 강원도 강릉시 명륜로 29 |
위도 | 37.7634 |
경도 | 128.8948 |
웹사이트 | 문화재청[1] |
정의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향교이다. 고려시대 후기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 김승인(金承印)이 설립한 교육시설이며 1985년 1월 17일 강원도의 유형문화재 제99호 로 지정되었다. 향교는 훌륭한 유학자를 제사하고 지방민의 유학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나라에 서 지은 교육기관이다.
위치
내용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강원도 강릉시에 있는 향교이다.
개요
강릉향교(江陵鄕校)는 고려시대 후기 강릉도안렴사(江陵道按廉使) 김승인(金承印)이 설립한 교육시설이다.
인물
고려 충선왕 5년(1313년)에 처음 세운 후 조선 태종 11년(1411년)에 화재로 없어진 것을 태종 13년(1413년)에 다시 지었다.
『신증동국여지승람』의 기록에 따르면 “고려 김승인(金承印)이 존무사(存撫使)가 되어, 화부산(花浮山) 밑에다가 처음으로 학사(學舍)를 창설하였다.”고 하였다.[2]
인조(재위 1623∼1649) 때 크게 늘려지어 웅장한 규모를 갖추게 되었다.
건물
향교는 배향공간의 중심 건물이 대성전이고, 강학공간의 중심건물인 명륜당으로 구성되어 있다. 배산임수형 대지에 남쪽으로 축대와 계단이 있고, 그 위에 정문과 막돌 담장이 둘러싸고 있다. 경내에는 문묘에 속하는 대성전, 동서무, 전랑 이 있으며, 향교에 속하는 명륜당과 동서재가 있다. 전면 11칸, 측면 2칸 규모의 명륜당 전면 좌측에는 “향교 묘정비(鄕校廟庭碑)”가 있고, 그 좌측에 “금리 민공 성인비(錦里閔公成仁碑)”가 있다. 동서 재는 전면 5칸과 측면 2칸의 규모를 각각 갖추고 있으며, 명륜당 내에는 “명륜당 중수기(明倫堂重修記)”와 “성전 중수기(聖殿重修記)” 등 다수의 현판이 게판되어 있다.
의의
조선시대에는 나라로부터 토지와 책·토비 등을 지급 받아 운영하였다. 현재는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제사의 기능만 남아있으나, 명륜고등학교를 향교에서 설립하여 운영하고 있다.
소장되었던 책은 한국전쟁으로 대부분 불타 없어졌으며, 현재 『공부자성적도』 등 70여 권만 남아있다.
관련 의식
매년 음력 2월과 8월 상정일에 가장 전통적인 유교식 제례를 올린다.
사진자료
참고문헌
- '강릉향교', 문화재청, 2022년 10월 6일
- '강릉향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2022년 10월 6일
- 강릉대학교 박물관(1995), 『강릉의 역사와 문화유적』
주석
- ↑ '강릉향교', 문화재청, 2022년 10월 6일
- ↑ '한국고전종합DB 『신증동국여지승람』', 한국고전종합DB, 2022년 10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