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901A.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같은 사용자에 의한 2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pre> | <pre> | ||
#Links | #Links | ||
− | E0-901A | + | E0-901A 미일수호통상조약 hasContextualElement |
− | E0-901A | + | E0-901A 메이지_유신 hasContextualElement |
− | E0-901A | + | E0-901A 이와쿠라_사절단_파견 hasContextualElement |
− | E0-901A | + | E0-901A 이와쿠라_사절단 hasContextualElement |
− | E0-901A | + |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 hasContextualElement |
+ |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미국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 ||
+ |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프랑스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 ||
+ |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 ||
+ |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개정 hasContextualElement | ||
+ | E0-901A 일본_시종직_식부직_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 ||
+ | E0-901A 판화-일본박람회-021003991 hasContextualElement | ||
#End | #End | ||
</pre> | </pre> | ||
+ | |||
+ | {{clickable button | [[S0-901.Story]]}} | ||
==Theme== | ==Theme== | ||
− | + | Episode 1: 일본의 개항과 서구식 예복 | |
==Synopsis== | ==Synopsis== | ||
− | + | 19세기 서양은 근대화를 이루고, '유럽공법'이라는 문명국 간의 법에 의거한 국제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ref>김용구, 『세계관 충돌의 국제정치학―동양 禮와 서양 公法』, 나남출판, 1997, 49쪽.</ref> 이 공법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선교사 월리엄 마틴(William A. P. Martin, 丁韙良, 1827∼1916)이 1864년 미국의 국제법 저서 『국제법 원리, 국제법학사 개요 첨부』를 한역(漢譯)하여 출판하면서 ‘만국공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ref>조성윤, ‘만국공법(萬國公法)’,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2009.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6389</ref> 그렇게 함으로써 이 공법이 온 세계만국에 적용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었다.<ref>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37쪽.</ref> <br/> | |
− | + | 이러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일본은 1854년 미국에 의해 개항하여 불평등조약을 맺었고,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근대화를 이룬다. 이후 일본은 대규모 사절단을 서양에 파견하여 그들의 서구세계 경험에 의거한 서구식 대례복을 제정하게 된다.<ref>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44쪽.</ref> 이 대례복에는 자국을 상징하는 문양을 자수함으로써 다른 나라와 구별짓도록 하였고, 이러한 근대적 대례복 제도에 따라 일본은 오동과 국화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ref>이경미, 『제복의 탄생』, 민속원, 2012, 85쪽.</ref>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Storytelling Network== | ==Storytelling Network==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901A"></iframe> |
<br/> | <br/> |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901A'"> |
−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 | +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E0-901A.episode&db=Class2022&project=hanyang'"> |
</html> | </html>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김현승]] | [[분류:김현승]] |
2022년 6월 8일 (수) 22:35 기준 최신판
#Links E0-901A 미일수호통상조약 hasContextualElement E0-901A 메이지_유신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이와쿠라_사절단_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이와쿠라_사절단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미국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사진-이와쿠라_사절단의_프랑스_대통령_회견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서구식_문관대례복_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일본_시종직_식부직_대례복_제정 hasContextualElement E0-901A 판화-일본박람회-021003991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Episode 1: 일본의 개항과 서구식 예복
Synopsis
19세기 서양은 근대화를 이루고, '유럽공법'이라는 문명국 간의 법에 의거한 국제사회를 형성하고 있었다.[1] 이 공법은 중국에서 활동하던 미국인 선교사 월리엄 마틴(William A. P. Martin, 丁韙良, 1827∼1916)이 1864년 미국의 국제법 저서 『국제법 원리, 국제법학사 개요 첨부』를 한역(漢譯)하여 출판하면서 ‘만국공법’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였고,[2] 그렇게 함으로써 이 공법이 온 세계만국에 적용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들었다.[3]
이러한 역사적 흐름 속에서 일본은 1854년 미국에 의해 개항하여 불평등조약을 맺었고, 1868년 메이지 유신을 거치면서 근대화를 이룬다. 이후 일본은 대규모 사절단을 서양에 파견하여 그들의 서구세계 경험에 의거한 서구식 대례복을 제정하게 된다.[4] 이 대례복에는 자국을 상징하는 문양을 자수함으로써 다른 나라와 구별짓도록 하였고, 이러한 근대적 대례복 제도에 따라 일본은 오동과 국화를 채택하여 사용하였다.[5]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