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0-201B.episode"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pre> #Links E0-201B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End </pre> ==Theme==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인왕산의 수성동 ==Synopsis== 인왕산에는 ==Storytelling...) |
(→Synopsis)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1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2번째 줄: | 2번째 줄: | ||
#Links | #Links | ||
E0-201B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 E0-201B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서울_수성동_계곡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한경지략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동국여지비고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신증동국여지승람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안평대군_이용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비해당사십팔영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열성어제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정선-수성동도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기린교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정선-장동팔경첩1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옥인시범아파트 hasContextualElement | ||
+ | E0-201B J11-0031-0000 hasContextualElement | ||
+ | |||
+ | |||
#End | #End | ||
10번째 줄: | 24번째 줄: | ||
==Synopsis== | ==Synopsis== | ||
− | 인왕산에는 | + | 인왕산에는 맑고 경쾌한 물(水) 소리(聲)가 인상적인 계곡(洞)인 '수성동(水聲洞)'이 있다. 이 계곡은 인왕산 아래 첫번째 계곡으로 서울 한복판에 있지만 인왕산을 받치고 있는 그 모습이 호연지기를 가르치며 절로 한적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
+ | |||
+ | 조선시대에도 많은 선비들이 여름철에 휴양을 즐기러 방문하였으며, 빼어난 경관으로 조선시대 지리서인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한경지략(漢京識略)』 등에서 '명승지'로 소개되어 있다. | ||
+ | |||
+ |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조선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의 집인 비해당(匪懈堂)의 옛 집터이다. <ref>안평대군의 호도 비해당이다. 비해(匪懈)는 게으름없이 라는 뜻으로, 시경(詩經)에 나오는 구절인 '숙야비해 이사일인(夙夜匪懈 以事一人)'에서 따온 말로 아침부터 늦은 밤까지 게으름 없이 사람을 섬기라는 의미이다. </ref> 안평대군을 비롯한 당대 많은 문인들은 수성동의 자연 경관에서 48가지 아름다움을 찾아내어 이를 극찬하며 비해당사십팔영시(匪懈堂四十八詠詩)를 남겼고, 비해당사십팔영시는 인조의 명으로 이광이 만든 《열성어제》에 수록되어 있다. | ||
+ | |||
+ | 조선시대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정선(鄭敾, 1676~1759)은 수성동 계곡의 아름다움을 담아 《수성동도(水聲洞圖)》를 그렸고, 이는 돌다리인 기린교(麒麟橋)를 비롯하여 나무 한 그루까지 매우 상세하게 묘사했으며,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는 모습도 그려져 있다. 이 《수성동도》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장동팔경첩에 수록되어 있다.<ref>장동팔경첩은 두 개의 본이 전해지는데, 하나는 간송미술관, 또 하나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ref> | ||
+ | 1971년 서울특별시는 옥인시범아파트 건립을 위하여 계곡 일부를 메우고 기린교에 난간을 설치하는 등 수성동을 훼손하였으나, 2012년 옥인시범아파트를 철거하고 수성동을 복원하였다. 이때 옛 모습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정선의 《수성동도》를 참고하여 복원하였으며, 2010년 수성동 계곡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 ||
==Storytelling Network== | ==Storytelling Network== | ||
<html> | <html> |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 | + | <iframe width="100%" height="800px" style="border:0" src="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201B"></iframe> |
<br/> | <br/> |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 | + | <input type="button" value="전체화면"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Story03.py?db=Class2022&project=hanyang&key=E0-201B'"> |
−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 | + | <input type="button" value="데이터 갱신" onclick="location.href='http://dh.aks.ac.kr/~hanyang2/cgi-bin/wikiEpisodeLoader.py?account=edu&script=E0-201B.episode&db=Class2022&project=hanyang'"> |
</html> | </html> | ||
==주석== | ==주석== | ||
<references/> | <references/> |
2022년 6월 1일 (수) 21:01 기준 최신판
#Links E0-201B 서울_인왕산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서울_수성동_계곡 hasContextualElement E0-201B 한경지략 hasContextualElement E0-201B 동국여지비고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신증동국여지승람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안평대군_이용 hasContextualElement E0-201B 비해당사십팔영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열성어제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정선-수성동도 hasContextualElement E0-201B 기린교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정선-장동팔경첩1 hasContextualElement E0-201B 옥인시범아파트 hasContextualElement E0-201B J11-0031-0000 hasContextualElement #End
Theme
물소리가 끊이지 않는 인왕산의 수성동
Synopsis
인왕산에는 맑고 경쾌한 물(水) 소리(聲)가 인상적인 계곡(洞)인 '수성동(水聲洞)'이 있다. 이 계곡은 인왕산 아래 첫번째 계곡으로 서울 한복판에 있지만 인왕산을 받치고 있는 그 모습이 호연지기를 가르치며 절로 한적한 느낌을 불러일으킨다.
조선시대에도 많은 선비들이 여름철에 휴양을 즐기러 방문하였으며, 빼어난 경관으로 조선시대 지리서인 『동국여지비고(東國輿地備考)』,『한경지략(漢京識略)』 등에서 '명승지'로 소개되어 있다.
또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조선 세종대왕의 셋째 아들인 안평대군(安平大君, 1418~1453)의 집인 비해당(匪懈堂)의 옛 집터이다. [1] 안평대군을 비롯한 당대 많은 문인들은 수성동의 자연 경관에서 48가지 아름다움을 찾아내어 이를 극찬하며 비해당사십팔영시(匪懈堂四十八詠詩)를 남겼고, 비해당사십팔영시는 인조의 명으로 이광이 만든 《열성어제》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후기 진경산수화의 대가인 정선(鄭敾, 1676~1759)은 수성동 계곡의 아름다움을 담아 《수성동도(水聲洞圖)》를 그렸고, 이는 돌다리인 기린교(麒麟橋)를 비롯하여 나무 한 그루까지 매우 상세하게 묘사했으며, 선비들이 풍류를 즐기는 모습도 그려져 있다. 이 《수성동도》는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는 장동팔경첩에 수록되어 있다.[2]
1971년 서울특별시는 옥인시범아파트 건립을 위하여 계곡 일부를 메우고 기린교에 난간을 설치하는 등 수성동을 훼손하였으나, 2012년 옥인시범아파트를 철거하고 수성동을 복원하였다. 이때 옛 모습을 최대한 재현하기 위해 정선의 《수성동도》를 참고하여 복원하였으며, 2010년 수성동 계곡은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31호로 지정되었다.
Storytelling 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