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55번째 줄: 55번째 줄:
  
 
===수강생===
 
===수강생===
* [[김수현| 김수현 (인문정보학 석사 2020)]]
 
 
* [[박현정| 박현정 (인문정보학 박사 2020)]]
 
* [[박현정| 박현정 (인문정보학 박사 2020)]]
 
* [[김광우| 김광우 (인문정보학 박사 2020)]]
 
* [[김광우| 김광우 (인문정보학 박사 2020)]]
70번째 줄: 69번째 줄:
 
** [[고종정해진찬의궤 권삼]]
 
** [[고종정해진찬의궤 권삼]]
 
* [[정해진찬의궤 찬품]] / [[이소영]]
 
* [[정해진찬의궤 찬품]] / [[이소영]]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박현정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광우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은숙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김현승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이한나 ]]
 +
*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이소영 ]]
  
 
==문헌정보 참조 Url==
 
==문헌정보 참조 Url==

2021년 5월 7일 (금) 11:48 판

고문헌 자료 정보화 연구 Computerization of Historical Documents

강의 소개

전통시대에 생산된 고문헌 자료의 형식과 내용을 파악하고, 그 특성에 적합한 정보 시스템을 설계·구현하는 방법을 연구한다. 2021년 1학기에는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1887, 고종24),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1866, 고종3), 『계해년대사례의궤(癸亥年大射禮儀軌)』 (1743, 영조19) 등 조선왕실 의궤를 대상으로, 이 자료에 기록된 조선 왕실 문화를 디지털 세계에 재현하는 방법과 기술을 탐구한다.

수업 방식

  • 강의 (대면/비대면 병행 수업)
  • 실습
  • 미니 프로젝트

수입 시간

  • 금 오전 9:00 - 11. 40

강의실

수업 내용

No 강의 주제 교재
1 고문헌 자료 정보화의 이해 - 데이터 시대의 한문 고전
2 '조선왕실 의궤'의 이해 - 궁중기록화 가상 전시관
3 문헌의 정보화: '조선왕실 의궤' 문헌 정보 탐색
4 문헌의 정보화: '조선왕실 의궤' 문헌 정보 아카이브 설계
5 문헌의 정보화: '조선왕실 의궤' 문헌 정보 아카이브 구현
6 문헌의 정보화 VS 지식의 정보화 - 다산 저작 텍스트의 전자정보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7 지식의 정보화: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지식 정보의 탐색(1)
8 지식의 정보화: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지식 정보의 탐색(2)
9 지식의 정보화: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데이터화를 위한 온톨로지 설계
10 지식의 정보화: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지식 정보 아카이브 구현(1)
11 지식의 정보화: 『정해진찬의궤(丁亥進饌儀軌)』 지식 정보 아카이브 구현(2)
12 지식의 정보화: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지식 정보의 탐색 / 온톨로지 설계
13 지식의 정보화: 『고종명성황후가례도감의궤(高宗明成皇后嘉禮都監儀軌)』 지식 정보 아카이브 구현
14 지식의 정보화: 『계해년대사례의궤(癸亥年大射禮儀軌)』 지식 정보의 탐색 / 온톨로지 설계
15 지식의 정보화: 『계해년대사례의궤(癸亥年大射禮儀軌)』 지식 정보 아카이브 구현

참여자

담당 교수

수강생

정해진찬의궤 강독

정해진찬의궤 데이터 아카이브 편찬 계획

문헌정보 참조 Url

조선왕실 의궤 문헌목록/해제/원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물 항목

한국민속대백과사전 사전별 항목

시맨틱 데이터 네트워크 그래프 예시

정해진친의궤


순종순정황후가례도감의궤


읽을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