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2019-F"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예의)
 
(같은 사용자에 의한 15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__NOTOC__
 
__NOTOC__
 
<p align="center"><font size="6">최부의 표해록</font></p>
 
<p align="center"><font size="6">최부의 표해록</font></p>
<p align="right">최원재, 교육학 전공</p>
+
<p align="right">[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B5%9C%EC%9B%90%EC%9E%AC 최원재], 교육학 전공</p>
  
 
==큐레이션 개요==
 
==큐레이션 개요==
78번째 줄: 78번째 줄: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11/PS01001001001-011652-000-0001.jpg " height=82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6788 "> 경상도 진주성을 그린 지도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11/PS01001001001-011652-000-0001.jpg " height=82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6788 "> 경상도 진주성을 그린 지도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06/2016/1114173344302/700/koo006748-00-00.jpg" height=83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20538 "> 우공전도 禹貢全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06/2016/1114173344302/700/koo006748-00-00.jpg" height=83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20538 "> 우공전도 禹貢全圖   </a> </p>
 +
표해록 2월16일자.태호는 곧 <우공(禹貢)>의 '진택(震澤)이 제자리를 잡게 되었다'는 곳과 《주례(周禮)》의 〈직방(職方)〉에 '양주(楊州)의 호수를 구구(具區)'라 한다'는 곳이 이곳입니다.
 +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2/700/koo03166.jpg" height=84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33738 "> 천문도 天文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2/700/koo03166.jpg" height=84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33738 "> 천문도 天文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00/2019/0926141401177/700/koo002643-000-90000.jpg" height=85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73434 "> 천문도 天文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00/2019/0926141401177/700/koo002643-000-90000.jpg" height=85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73434 "> 천문도 天文圖   </a> </p>
90번째 줄: 92번째 줄: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bon008/2017/0511102323175/700/bon008163-00-00.jpg" height=92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07 "> 조천도 朝天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bon008/2017/0511102323175/700/bon008163-00-00.jpg" height=92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07 "> 조천도 朝天圖   </a> </p>
<p><img src=" " height=93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881 "> 중국사대부와 중국 사신의 시대결 奉使朝鮮倡和詩卷   </a> </p>
+
  </a> </p>
 
</html>
 
</html>
  
99번째 줄: 101번째 줄: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05/2016/1114125941596/700/koo005679-00-00.jpg" height=95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71 "> 사로삼기첩 槎路三奇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koo005/2016/1114125941596/700/koo005679-00-00.jpg" height=95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971 "> 사로삼기첩 槎路三奇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bon008/2016/1124093013018/700/bon008360-000-0001.jpg" height=96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12 "> 동래부에 도착한 일본 사신 맞이 東萊府使接倭使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bon008/2016/1124093013018/700/bon008360-000-0001.jpg" height=96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12 "> 동래부에 도착한 일본 사신 맞이 東萊府使接倭使圖   </a> </p>
<p><img src=" " height=97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40595 "> 사로구승도   </a> </p>
+
<p><img src="https://www.museum.go.kr/files/zin/curator_93_1.jpg" height=97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40595 "> 사로구승도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08/PS01001001001-007952-000-0001.jpg " height=98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03 ">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航海朝天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08/PS01001001001-007952-000-0001.jpg " height=98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03 ">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航海朝天圖   </a> </p>
<p><img src=" " height=99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349 "> 태평성시도 太平城市圖   </a> </p>
+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duk004/2016/1123173124470/700/duk004481-000-0003.jpg" height=99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349 "> 태평성시도 太平城市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25/PS01001001005-005279-000-0001.jpg " height=100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407 "> 우암 송시열이 쓴 「해동의 하늘과 땅」 尤庵 宋時烈 筆 海東乾坤 尊周大義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25/PS01001001005-005279-000-0001.jpg " height=100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407 "> 우암 송시열이 쓴 「해동의 하늘과 땅」 尤庵 宋時烈 筆 海東乾坤 尊周大義   </a> </p>
 +
<p><img src="http://www.museum.go.kr/files/zin/curator_59_1.jpg" height=93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881 "> 중국사대부와 중국 사신의 시대결 奉使朝鮮倡和詩卷
 
</html>
 
</html>
  
129번째 줄: 132번째 줄: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bon004/2016/1124093013018/700/bon004971-000-0001.jpg" height=108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345 "> 관우 초상 關羽像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bon004/2016/1124093013018/700/bon004971-000-0001.jpg" height=108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345 "> 관우 초상 關羽像   </a> </p>
<p><img src=" " height=109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13017 "> 필자미상 관우도 筆者未詳關羽圖   </a> </p>
+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duk000/2016/1018194925552/700/duk000996-00.jpg" height=109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13017 "> 필자미상 관우도 筆者未詳關羽圖   </a> </p>
  
 
표해록 2월29일자. 도원역 서쪽에 위치한 삼결의묘(三結義廟)가 바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의 사당이었습니다.  
 
표해록 2월29일자. 도원역 서쪽에 위치한 삼결의묘(三結義廟)가 바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의 사당이었습니다.  
143번째 줄: 146번째 줄: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duk001/2017/0511100021142/200/duk001397-00-00.jpg" height=113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7057 "> 김진여필 성적도,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묻다 金振汝筆聖蹟圖, 問禮老聃圖   </a> </p>
 
<p><img src="https://www.museum.go.kr/relic_image/PS01001001/duk001/2017/0511100021142/200/duk001397-00-00.jpg" height=113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7057 "> 김진여필 성적도,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묻다 金振汝筆聖蹟圖, 問禮老聃圖   </a> </p>
 
표해록 1월17일자. “우리나라는 본래 예의의 나라이니 비록 표류하고 도망하여 급박한 가운데 놓이더라도, 또한 마땅히 위의(威儀)를 보여 이 땅의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의 예절이 이 같은 것임을 알도록 해야 한다.
 
표해록 1월17일자. “우리나라는 본래 예의의 나라이니 비록 표류하고 도망하여 급박한 가운데 놓이더라도, 또한 마땅히 위의(威儀)를 보여 이 땅의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의 예절이 이 같은 것임을 알도록 해야 한다.
 
===표류===
 
최부는 제주에서 출발한 후 풍랑을 만나 표류하게 된다. 아래의 그림들은 조선시대 배를 주제로 한 그림들이다.
 
 
<html>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06/PS01001001001-005062-000-0001.jpg " height=130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496 "> 풍랑을 만나 포류하는 배 泛槎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23/PS01001001005-004007-000-0001.jpg " height=131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662 "> 돌아오는 배 鄭敾筆歸帆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4/PS01001001009-002815-000-0001.jpg " height=132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326 "> 먼 포구로 돌아오는 배 田能村竹田生筆遠浦歸帆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17/PS01001001005-001328-003-0001.jpg " height=133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38 "> 먼 포구로 돌아오는 배 遠浦歸帆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08/PS01001001001-007952-000-0001.jpg " height=134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03 ">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航海朝天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3/PS01001001009-002265-000-0001.jpg " height=135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708 "> 배를 그린 그림 鄭敾筆○舡암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06/PS01001001001-005087-000-0001.jpg " height=136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714 "> 버드나무아래 머무는 배 方壺子筆柳汀帆船圖   </a> </p>
 
 
 
</html>
 
</html>
 
 
 
===외교사신맞이===
 
 
===수차===
 
최부는 표해귀국과정에서 보게된 '''수차'''를 보고 그 제작 기술을 배워와 조선에 도입한다.
 
<html>
 
<p><img src=" " height=102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099 "> 유교수차병풍   </a> </p>
 
</html>
 
 
===명나라의 풍습===
 
표해록에 최부와 중국관리가 죽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html>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2/PS01001001009-001226-000-0001.jpg " height=103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773 ">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 靑磁竹筍形注子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72/PS01001001017-003812-000-0001.jpg " height=101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3206 "> 주칠 씨앗 바구니 朱漆紙繩食籠   </a> </p>
 
</html>
 
===명나라 풍경===
 
최부는 명나라를 남에서 북으로 관통하며 여러 풍경을 보고 이를 표해록에 묘사한다.
 
<html>
 
<p><img src=" " height=107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5761 "> 소동파입극도 蘇東派笠屐圖   </a> </p>
 
 
표해록 2월12일자. 표충관(表忠觀)은 용산(龍山)의 남쪽에 있는데,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비문이 있습니다. 풍황령(風掌嶺)은 방목하는 마장(馬場) 서쪽에 있으니, 곧 소동파가 변재(辨才)를 찾아보았던 곳입니다.
 
 
<p><img src=" " height=108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8345 "> 관우 초상 關羽像   </a> </p>
 
<p><img src=" " height=109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213017 "> 필자미상 관우도 筆者未詳關羽圖   </a> </p>
 
 
표해록 2월29일자. 도원역 서쪽에 위치한 삼결의묘(三結義廟)가 바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의 사당이었습니다.
 
표해록 3월2일자. 서쪽 언덕에 관우(關羽)와 울지공(尉遲公)과 조앙(趙鬪)의 사당이 있었습니다.
 
 
<p><img src=" " height=110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838 "> 난정에서의 모임 蘭亭會序圖   </a> </p>
 
<p><img src=" " height=111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837 "> 장강만리도 長江萬里圖   </a> </p>
 
</html>
 
===예의===
 
  
 
===선비===
 
===선비===
211번째 줄: 165번째 줄: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4/PS01001001009-003101-000-0001.jpg " height=127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118 "> 낚시하는 선비 狩野探幽筆釣漁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4/PS01001001009-003101-000-0001.jpg " height=127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118 "> 낚시하는 선비 狩野探幽筆釣漁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4/PS01001001009-002813-000-0001.jpg " height=128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325 "> 동자들이 꽃을 씻고 있는 것을 바라보는 선비 田能村竹田生筆高士洗花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34/PS01001001009-002813-000-0001.jpg " height=128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325 "> 동자들이 꽃을 씻고 있는 것을 바라보는 선비 田能村竹田生筆高士洗花圖   </a> </p>
<p><img src=" " height=129 /> <a href="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recommend/view?relicRecommendId=16881 "> 중국사대부와 중국 사신의 시대결 奉使朝鮮倡和詩卷   </a> </p>
+
</a> </p>
 
</html>
 
</html>
 +
 
===과거제===
 
===과거제===
표해록에서는 상당히 많은 부분 조선의 과거제를 소개하는 장면이 나온다. 최부는 자신의 과거합격을 입증하는 방록을 보여주며 자신이 왜구가 아닌 조선의 관리임을 입증한다.  
+
표해록에는 상당히 많은 부분 조선의 과거제를 소개하는 장면이 나온다. 최부는 자신의 과거합격을 입증하는 방록을 보여주며 자신이 왜구가 아닌 조선의 관리임을 입증한다.  
 
<html>
 
<html>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56/PS01001001016-002517-000-0001.jpg " height=137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7020 "> 강필봉의 과거예비시험 입격증서 姜必鳳照訖帖   </a> </p>
 
<p><img src=" http://dh.aks.ac.kr/~tutor/Images/Museum/h0056/PS01001001016-002517-000-0001.jpg " height=137 /> <a href=" http://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7020 "> 강필봉의 과거예비시험 입격증서 姜必鳳照訖帖   </a> </p>
229번째 줄: 184번째 줄:
  
 
</html>
 
</html>
 
 
  
 
<pre>
 
<pre>
236번째 줄: 189번째 줄:
 
where class='MuseumObject'
 
where class='MuseumObject'
 
</pre>
 
</pre>
 
  
 
===Query===
 
===Query===
{{SemanticQuery | db=s_jack | project=jChoi | key=정선}}
+
{{SemanticQuery | db=s_jack | project=PHR60 | key=조선}}
 +
 
 +
===최부 표해록의 주요부분===
 +
자세한 내용은 http://dh.aks.ac.kr/~pattern/wiki/index.php/%EB%8C%80%EB%AC%B8 참조
 +
 
 +
<div style="text-align:center>예를 들어 음사에 빠져있던 최부 종자들 42명이 최부와의 동행 여정에서 감화되어 친도학 성향으로 바뀌는 내용이 나온다. 다음의 시맨틱 데이터는 이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보여준다.</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SemanticNetwork | db=s_jack | project=PHR60 | key=행운}}</div>
 +
 
  
===2 Hop Network===
+
<div style="text-align:center>이야기 내내 상복을 입고 있는 최부는 상복을 통해 효와 충에 대한 <span style="color: orange">해석</span>을 독자들에게 요구한다.</div>
  
{{SemanticNetwork2 | db=s_jack | project=jchoi | key=정선}}
 
  
===출처===
+
<div style="text-align:center>{{SemanticNetwork | db=s_jack | project=PHR60 | key=상복}}</div>
  
 +
 +
<div style="text-align:center>그리고 이야기 전개과정이 <span style="color: blue">조선과 조선인</span> 중심이다. 이는 <span style="color: blue">조선맥락화</span>다. 최부는 조선맥락의 교재를 만들어 중국교재 《소학》과의 차별화를 목적했다.</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SemanticNetwork | db=s_jack | project=PHR60 | key=우리나라_조선}}</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최부는 <span style="color: blue">조선맥락화</span>의 일환으로 조선인의 <span style="color: orange">골육지친</span>을 중시했다.</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SemanticNetwork | db=s_jack | project=PHR60 | key=골육}}</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최부의 메시지는 교재답게 <span style="color: green">찬반토론, 문답</span>이라는 교재형식으로 전달된다.</div>
 +
 +
 +
<div style="text-align:center>{{SemanticNetwork | db=s_jack | project=PHR60 | key=찬반토론}}</div>
 +
 +
===출처===
 
<references/>
 
<references/>
 +
 +
[[틀:SemanticNetwork]]

2021년 1월 10일 (일) 11:09 기준 최신판

최부의 표해록

최원재, 교육학 전공

큐레이션 개요

이번 디지털 큐레이션의 기획은 조선 성종조 금남 최부가 표류한 사건에서 영감을 얻었다. 그가 인솔하는 42명의 조선인들은 제주에서 출발하여 풍랑을 만나 명나라 남동부의 닝보에 표착하였다. 이후 항주에서 경항운하를 타고 북으로 호송되어 베이징에서 황제를 알현한 후 요동을 거쳐 조선으로 귀국하였다. 이번 큐레이션은 이 여정에서 나타나는 내용과 관련된 조선의 문화재를 소개한다. 그의 여정과 직접적으로는 관련이 없더라도 지도, 중국, 표류, 선비정신 등의 키워드로 큐레이션을 진행하였다.LINKING ASIA SHOWCASES MING DYNASTY MAP MADE IN JAPAN을 참고해보기를 바란다.

최부의 『표해록』

금남 최부(1454~1504)가 쓴 『표해록』(1488년)은 마르코폴로(1254~1324)의 『동방견문록』, 일본 승려인 엔닌(圓仁:794~864)의 『입당구법순례행기(入唐求法巡禮行記)』와 더불어 중국 역사상 3대 기행문의 하나로 꼽히고 있다. 그는 전라남도 나주 출신의 문신이다. 최부의 표해록은 중국 명나라 초기의 사회상황, 정치와 군사, 경제와 문화를 비롯하여 일상의 풍습까지 자세히 기록하고 있다.

금남 최부가 제주도에 파견되어 추쇄경차관으로 근무하던 중 부친상을 당해 전라도 나주로 귀향하다가 거센 폭풍우를 만나게 된다.『표해록』은 최부가 일행 43명과 함께 바다에 표류하였다가 가까스로 중국 절강성의 해안지방에 표착하여 조선으로 이송되기까지 5개월가량 중국에 머물렀던 기록이다. 조선으로 돌아온 뒤 왕명에 따라 일기체 형식으로 씌어진 이 기행기에는 중국문화에 정통한 조선의 지식인 최부의 눈에 비친 15세기 중국사회가 가감 없이 드러나 있다. 영파, 소흥, 항주, 소주, 진강, 양주, 회안, 서주, 천진, 북경, 산해관, 북녕, 요양을 거쳐 압록강을 건너 조선으로 돌아오는 무려 8천여 리나 되는 여정은, 비록 예상치 못한 상황 속에 이루어졌으나 그 과정은 미리 계획한 것만큼이나 꼼꼼하게 기록되었다. 매일의 날씨와 중국의 해로, 기후, 풍속, 언어, 정치, 문화 등이 낱낱이 기록되었다. 『표해록』은 외국인에게 굳게 닫혀 있었던 중국 강남지역에 대한 무궁무진한 정보로 가득해 명대 중국 연구사료로서도 역사적 가치가 높다.

최부는 명나라를 방문했던 조선의 관료들이 볼 수 없었던 장강 대운하의 기능과 의의를 썼고 물을 긷는 중국의 수차(水車) 원리까지 상세하게 적었는데 그는 이 수차를 조선에 도입하자는 제안도 했다고 해서 조선 실학 사상의 원류로 여겨지기도 한다. 최부의 『표해록』은 1769년 일본에서, 1965년 미국에서, 1976년 한글로 완역되었고 중국에서는 1992년에 번역되었다.

관서재

해남의 입장에서 보면 금남 최부의 가치는 그의 문필가로서의 역할보다 더 큰 것이 있다. 즉 사상가이자 교육자로서의 삶이다. 해남정씨[1]는 금강동(현 해리)에서 살았는데 해남정씨와 통혼한 5가문도 모두 금강동에 자리 잡아 이후 금강동은 해남 사족들과 학문의 중심지로 부각된다. 최부는 이곳에 와서 '관서재'를 열어 많은 후학들을 양성하게 되는데 이 때문에 금남을 해남 인물사의 서막을 연 사람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외손자 유희춘에 의하면, "해남은 본디 바닷가에 치우쳐 있어 옛날에는 문학과 예의(禮儀)도 없었고 거칠고 누추한 고을이었는데, 자신의 외할아버지가 처가인 해남에서 노닐면서 우선 세 제자를 길러냈다"고 했다. 첫째는 진사시에 합격한 어초은(漁樵隱) 윤효정(尹孝貞), 둘째는 조선 중기의 대문호이던 석천(石川) 임억령(林億齡)의 숙부인 임우리(林遇利), 셋째는 유희춘 자신과 자신의 형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큰 명성을 얻었던 유성춘(柳成春)의 아버지인 성은(城隱) 유계린(柳桂隣)[2]이었다. 호남을 대표하는 세 가문이 바로 금남의 문하에서 나왔음만 보아도 그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가 짐작할 수 있다. [3]

최부의 표류귀국호송지도

최부 표류귀국여정지도

최부 표류귀국여정지도.lst

최부의 표해여정 데이터 아트

대상유물

표류

최부는 제주에서 출발한 후 풍랑을 만나 표류하게 된다. 아래의 그림들은 조선시대 배를 주제로 한 그림들이다.

풍랑을 만나 포류하는 배 泛槎圖

표해록 1월3일자. 비는 여전히 그치지를 않고 풍랑이 사나워 파도를 따라 오르내리니...

돌아오는 배 鄭敾筆歸帆圖

먼 포구로 돌아오는 배 田能村竹田生筆遠浦歸帆圖

먼 포구로 돌아오는 배 遠浦歸帆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航海朝天圖

배를 그린 그림 鄭敾筆○舡암圖

버드나무아래 머무는 배 方壺子筆柳汀帆船圖

지도

최부는 중국 사신과의 대화에서 해박한 중국지리지식을 보임으로써 신임을 얻게 된다. 아래는 조선시대의 지도다. 조선의 지도뿐만 아니라 중국의 지도또한 포함되어있다.

경상도 통영 주변을 그린 지도

경상도 통영 주변을 그린 지도

동국대지도 東國大地圖

산수화풍으로 도성의 모습을 그린 지도 漢城圖

서울전도 首善全圖

전라도 능주목을 그린 그림 全羅左道綾州牧地圖

청구관해방총도 靑丘關海防總圖

팔도도 八道圖

평안도 영변 대도호부를 그린 지도

함경도 함흥부의 읍치를 그린 지도

탐라지도병서 耽羅地圖幷序

유구국 지도 琉球國圖

표해록1월8일자. 정남방은 곧 대유구국(大琉球國), 소유구국(小琉球國)이요,

전라도 무장현을 그린 지도 全羅道茂長縣圖

대동여지전도 大東輿地全圖

중국의 지도가 많은 종합 지도책 輿地圖

천하도, 외국지도, 팔도지도가 함께 수록된 종합 지도첩 天地圖

여지도 輿地圖

대동여지도 목판 大東輿地圖

대동여지도 목판 大東輿地圖木板

표해록 (조선시대 최부가 중국에 표류되었을 때의 체험을 편찬한 책) 漂海錄

한반도를 그린 지도 海左全圖

황해도지도 黃海道地圖

경상도 진주성을 그린 지도

우공전도 禹貢全圖

표해록 2월16일자.태호는 곧 <우공(禹貢)>의 '진택(震澤)이 제자리를 잡게 되었다'는 곳과 《주례(周禮)》의 〈직방(職方)〉에 '양주(楊州)의 호수를 구구(具區)'라 한다'는 곳이 이곳입니다.

천문도 天文圖

천문도 天文圖

윤도(방위도) 輪圖(方位圖)

환영지 寰瀛誌

요동지도 遼東地圖

조선과 요동지방 지도

청구관해방총도 (靑丘關海方摠圖), 靑丘關海防總面地圖

유구국도 琉球國圖

표해록 2월6일자. 初六日,晴,琉球國人陳善、蔡賽等,盛辦餅誤來饋臣及從者 유구국의 진선(陳善), 채새(蔡賽) 등이 떡과 음식을 풍성하게 준비해 와서 신과 종자들에게 대접하였습니다.

조천도 朝天圖

외교사신맞이

조선은 명과 청에 주기적으로 사신을 파견했다. 또한 이웃나라들로부터 사신을 맞이하기도 하였다.

영대기관첩

사로삼기첩 槎路三奇帖

동래부에 도착한 일본 사신 맞이 東萊府使接倭使圖

사로구승도

명나라로 가는 바닷길 航海朝天圖

태평성시도 太平城市圖

우암 송시열이 쓴 「해동의 하늘과 땅」 尤庵 宋時烈 筆 海東乾坤 尊周大義

중국사대부와 중국 사신의 시대결 奉使朝鮮倡和詩卷

수차

최부는 표해귀국과정에서 보게된 수차를 보고 그 제작 기술을 배워와 조선에 도입한다.

유교수차병풍

표해록 3월23일자.“수차(水車)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싶습니다”라고 하였습니다.

명나라의 풍습

표해록에 최부와 중국관리가 죽순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장면이 나온다.

청자 죽순 모양 주전자 靑磁竹筍形注子

주칠 씨앗 바구니 朱漆紙繩食籠

명나라 풍경

최부는 명나라를 남에서 북으로 관통하며 여러 풍경을 보고 이를 표해록에 묘사한다.

소동파입극도 蘇東派笠屐圖

표해록 2월12일자. 표충관(表忠觀)은 용산(龍山)의 남쪽에 있는데, 소동파(蘇東坡)가 지은 비문이 있습니다. 풍황령(風掌嶺)은 방목하는 마장(馬場) 서쪽에 있으니, 곧 소동파가 변재(辨才)를 찾아보았던 곳입니다.

관우 초상 關羽像

필자미상 관우도 筆者未詳關羽圖

표해록 2월29일자. 도원역 서쪽에 위치한 삼결의묘(三結義廟)가 바로 유비(劉備),관우(關羽),장비(張飛)의 사당이었습니다. 표해록 3월2일자. 서쪽 언덕에 관우(關羽)와 울지공(尉遲公)과 조앙(趙鬪)의 사당이 있었습니다.

난정에서의 모임 蘭亭會序圖

장강만리도 長江萬里圖

예의

최부는 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갖고 실천함으로써 중국 관리들의 찬사를 받았고 살아남을 수 있었다. 공자와 예의에 관련한 유물들을 살펴보자.

김진여필 성적도, 공자가 노자에게 예를 묻다 金振汝筆聖蹟圖, 問禮老聃圖

표해록 1월17일자. “우리나라는 본래 예의의 나라이니 비록 표류하고 도망하여 급박한 가운데 놓이더라도, 또한 마땅히 위의(威儀)를 보여 이 땅의 사람들에게 우리나라의 예절이 이 같은 것임을 알도록 해야 한다.

선비

최부는 조선의 선비를 대변하는 인물이다.

겨울강에서 홀로 낚시하는 선비 寒江獨釣圖

냇물에 발을 담근 선비 濯足圖

눈내린 누각에서 매화를 감상하는 선비 金秀哲筆雪樓賞梅圖

달밤에 소나무 아래를 거니는 선비 松下步月圖

매화를 찾아가는 선비 探梅圖

산수를 배경으로 낚시를 하는 선비 直入山樵筆釣魚山水圖

소나무 숲속의 친구를 찾아가는 선비 傳能村直人筆松溪訪友圖

폭포를 바라보는 선비 觀瀑圖

폭포를 바라보는 선비 觀瀑圖

폭포를 바라보는 선비 觀瀑圖

폭포를 바라보는 선비 「화원별집」 踞松觀瀑圖

나귀를 탄 선비 騎驢圖

낚시하는 선비 狩野探幽筆釣漁圖

동자들이 꽃을 씻고 있는 것을 바라보는 선비 田能村竹田生筆高士洗花圖

과거제

표해록에는 상당히 많은 부분 조선의 과거제를 소개하는 장면이 나온다. 최부는 자신의 과거합격을 입증하는 방록을 보여주며 자신이 왜구가 아닌 조선의 관리임을 입증한다.

강필봉의 과거예비시험 입격증서 姜必鳳照訖帖

함경도 지방의 과거 시험 北塞宣恩圖

김영수가 제출한 시험답안지 4건을 묶어 만든 첩 金永秀試券

김응수의 무과 합격증 金應秀武科紅牌

김지용의 생원시 합격증서 金之鎔白牌

삼강행실도 三綱行實圖

속삼강행실도 續三綱行實圖

왕희지가 글씨를 쓴 비석의 탁본을 모은 첩 聖德頌

조기영의 문과 장원 합격증 趙冀永文科紅牌

조기영의 진사 합격증 趙冀永白牌

청나라 황제에게 올리는 문서 表文

select '<p><img src="'+iconUrl+'" height=60 />', '<a href="'+infoUrl+'">'+label+' '+hanja+'</a>', '</p>' from 표해록정보
where class='MuseumObject'

Query


최부 표해록의 주요부분

자세한 내용은 http://dh.aks.ac.kr/~pattern/wiki/index.php/%EB%8C%80%EB%AC%B8 참조

예를 들어 음사에 빠져있던 최부 종자들 42명이 최부와의 동행 여정에서 감화되어 친도학 성향으로 바뀌는 내용이 나온다. 다음의 시맨틱 데이터는 이를 네트워크 그래프로 보여준다.



이야기 내내 상복을 입고 있는 최부는 상복을 통해 효와 충에 대한 해석을 독자들에게 요구한다.



그리고 이야기 전개과정이 조선과 조선인 중심이다. 이는 조선맥락화다. 최부는 조선맥락의 교재를 만들어 중국교재 《소학》과의 차별화를 목적했다.



최부는 조선맥락화의 일환으로 조선인의 골육지친을 중시했다.



최부의 메시지는 교재답게 찬반토론, 문답이라는 교재형식으로 전달된다.


출처

  1. 해남과 초계정씨(草溪鄭氏), 해남군민신문, 2015.11.28
  2. 4대 사화(士禍) 버텨낸 강철 신념, 불꽃 의지 거가(居家) 선비 유계린의 ‘거가십훈’, 신동아, 2016.02.01
  3. 비극적인 삶 마친 조선의 마르코폴로 '최부(崔溥)'처가 따라 해남 행, 어초은 윤효정 등 해남육현 길러내, 표해록, 고전기행문학의 백미이자 15C 말 중국 문물 연구의 보고, 해남신문, 2012.03.19

틀:SemanticNetwo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