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렬왕후의 혼례복 물목"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
(→관계정보) |
||
(같은 사용자에 의한 4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53번째 줄: | 53번째 줄: | ||
*Clothing-복식 : 말군 | *Clothing-복식 : 말군 | ||
*Clothing-복식 : 치마 | *Clothing-복식 : 치마 | ||
− | *Clothing- | + | *Clothing-복식 : 속곳 |
− | *Clothing- | + | *Clothing-복식 : 흉배 |
*Clothing-복식 : 신 | *Clothing-복식 : 신 | ||
*Clothing-복식 : 세수장삼 | *Clothing-복식 : 세수장삼 | ||
*Clothing-복식 : 이불 | *Clothing-복식 : 이불 | ||
+ | |||
+ | ====관계정보==== | ||
+ | <!-- ===관련 내용=== --> | ||
+ |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
+ |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 |- | ||
+ | | 적의 || 아청무문사하피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아청사무문배자||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화문사초록사단삼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도홍화문사오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화문아청군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수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패옥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대대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청옥규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적의 || 적석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
+ | |- | ||
+ | | 장삼 || 胸褙裌長衫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삼 || 裌長衫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삼 || 單長衫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노의 || 金圓紋露衣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머리장식)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쓰개)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예복)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상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하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기타)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머리장식 || 체발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머리장식 || 빗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머리장식 || 비녀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머리장식 || 마리삭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머리장식 || 대요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쓰개 || 너울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쓰개 || 립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쓰개 || 면사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예복 || 적의일습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예복 || 노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예복 || 장삼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상의 || 중삼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상의 || 경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상의 || 저고리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상의 || 호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상의 || 삼아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하의 || 말군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하의 || 치마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하의 || 속곳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기타 || 대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기타 || 신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기타 || 흉배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기타 || 세수장삼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기타 || 이불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
+ | |- | ||
+ | |} | ||
===네트워크그래프=== | ===네트워크그래프=== | ||
66번째 줄: | 161번째 줄: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 2016 | ||
+ | |||
+ | [[분류:복식콘텐츠]][[분류:복식2020단국대]] | ||
+ | [[분류:Clothing]][[분류:Clothing-복식]][[분류:복콘2020-Clothing-복식]] | ||
+ | [[분류:김남희]] |
2020년 12월 16일 (수) 21:40 기준 최신판
금원문노의 (金圓紋露衣) |
|
대표명칭 | 금원문노의 |
---|---|
한자표기 | 金圓紋露衣 |
구분 | 혼례복 |
착용신분 | 왕비 |
착용성별 | 여자 |
정의
인조와 장렬왕후의 혼례는 두 차례의 전란을 겪은 후 정국의 재정비가 필요한 시기에 치러졌다. 『인조실록』의 인조 16년(1638) 기록을 보면, 가례에 사용할 사치스러운 물건은 감하였으나 은그릇 등이 남아 있으니 더 감손하라는 도감의 청이 있으며, 천재(天災)가 몰려와 백성이 굶어 죽게 되었다는 내용이 있다.[2] 이러한 시기에 치러진 장렬왕후 혼례의 혼례복 물목이 이전 왕비의 물목에 비해 어느 정도 감하여졌는지 비교할 수 있는 기록이 없으나, 정황상 이전보다 검소하게 치렀을 것으로 생각된다.
내용
장렬왕후의 혼례복 물목은 적의(翟衣) 일습과 장삼(長衫) 3점, 세수장삼 1점, 마리삭[首紗只] 2점, 노의(露衣) 1점, 중삼(中衫) 1점, 말군(袜裙) 2점, 대(帶) 1점, 저고리[赤古里] 6점, 호수(胡袖) 2점, 치마[赤亇] 5점, 삼아(衫兒) 2점, 속곳[裏衣] 2점, 너울[汝火] 1점, 입영(笠纓) 1점, 매듭[每緝] 1점, 이불[衾] 3점, 입영단추[笠纓月亇只] 1점, 노의대(露衣帶) 1점, 너울매듭[汝火每緝] 1점, 경의(景衣) 1점, 대요(帶腰) 1점, 면사(面紗) 1점, 입(笠) 1점, 흉배(胸背) 8척(8隻), 신[鞋] 1점, 체발(髢髮) 68丹 5箇, 그 외 빗과 비녀 등이 있다.[3] 이를 유형별로 분류하면 머리장식, 쓰개, 예복, 상의, 하의, 기타로 나눌 수 있다. 머리장식으로는 체발, 소첩, 빗, 비녀, 마리삭, 대요가 있고, 쓰개로는 너울과 립, 면사가 있다. 예복으로는 적의 일습, 장삼, 노의가 있다. 상의에는 중삼, 경의, 저고리, 호수, 삼아가 있고, 하의로는 말군, 치마, 속곳이 있다. 기타로 대(帶)와 신[鞋], 흉배와 이불이 있다.[4]
지식관계망
클래스
- Actor-인물 : 장렬왕후
- Clothing-복장 : 적의
- Clothing-복장 : 노의
- Clothing-복식 : 금원문노의
- Clothing-복식 : 머리장식
- Clothing-복식 : 쓰개
- Clothing-복식 : 예복
- Clothing-복식 : 상의
- Clothing-복식 : 하의
- Clothing-복장 : 대
- Clothing-복장 : 기타
- Clothing-복식 : 체발
- Clothing-복식 : 소첩
- Clothing-복식 : 빗
- Clothing-복식 : 비녀
- Clothing-복식 : 마리삭
- Clothing-복식 : 대요
- Clothing-복식 : 너울
- Clothing-복식 : 하의
- Clothing-복장 : 립
- Clothing-복장 : 면사
- Clothing-복식 : 장삼
- Clothing-복식 : 중삼
- Clothing-복식 : 경의
- Clothing-복식 : 저고리
- Clothing-복식 : 호수
- Clothing-복식 : 삼아
- Clothing-복식 : 말군
- Clothing-복식 : 치마
- Clothing-복식 : 속곳
- Clothing-복식 : 흉배
- Clothing-복식 : 신
- Clothing-복식 : 세수장삼
- Clothing-복식 : 이불
관계정보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적의 | 아청무문사하피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아청사무문배자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화문사초록사단삼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도홍화문사오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화문아청군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수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패옥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대대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청옥규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적의 | 적석 | A는 B와 함께 착용하였다 | A ekc:goesWith B |
장삼 | 胸褙裌長衫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삼 | 裌長衫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삼 | 單長衫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노의 | 金圓紋露衣1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머리장식)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쓰개)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예복)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상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하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 (기타)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머리장식 | 체발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머리장식 | 빗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머리장식 | 비녀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머리장식 | 마리삭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머리장식 | 대요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쓰개 | 너울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쓰개 | 립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쓰개 | 면사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예복 | 적의일습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예복 | 노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예복 | 장삼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상의 | 중삼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상의 | 경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상의 | 저고리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상의 | 호수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상의 | 삼아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하의 | 말군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하의 | 치마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하의 | 속곳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기타 | 대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기타 | 신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기타 | 흉배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기타 | 세수장삼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기타 | 이불 | A는 B에 속해있다 | A dcterms:hasPart B |
네트워크그래프
주석
- ↑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 2016
- ↑ 『仁祖實錄』 37卷, 16年(1638) 10月 16日(乙巳)晝講《詩傳》 講訖, 李景奭進曰: “嘉禮所用奢侈之物, 自上已有減損之敎, 意甚盛也. 此亦臣民之所觀感者, 而目今天災沓至, 民將餓死, 閭閻之間, 侈靡日甚.今此大禮, 實是中興之本, 自上尤宜節損, 以示戒謹之意, 然後可以上答天心, 下濟民急, 而減損之後, 猶有銀甁、銀椀, 其他銀器, 亦非一二, 更加量減, 以昭儉德於宮壼正位之始.” 上曰: “啓辭甚當. 言于都監, 使之量減.”
- ↑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중궁전의대물건소입질(中宮殿衣襨物件所入秩)’.
- ↑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p.9.
참고문헌
김남희, 『(인조장렬왕후)가례도감의궤』의 노의 일습 복원에 관한 연구,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