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자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58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22번째 줄: 22번째 줄:
 
===주요 소장품===
 
===주요 소장품===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파일:|파일:]] <br />'''백자'''
+
||[[파일:백자상감모란문발.jpg|150px]] <br />'''백자상감모란문발''' 
||[[파일:|파일:]] <br />'''백자'''
+
||[[파일:백자철화 매죽문 편병_PS0100332700700171300000_0.jpg|150px]] <br />'''백자철화매죽문편병'''
 +
||[[파일:백자 호(진단구).jpg|150px]] <br />'''백자호'''
 +
|}
 +
{|class="wikitable"
 +
||[[파일:백자발 신대리.jpg|150px]] <br />'''신대리 출토 백자'''
 
||[[파일:김영훈답사노트1.jpg|150px]]<br />'''김영훈 선생 답사노트(1)'''
 
||[[파일:김영훈답사노트1.jpg|150px]]<br />'''김영훈 선생 답사노트(1)'''
 
||[[파일:김영훈답사노트2.jpg|150px]]<br />'''김영훈 선생 답사노트(2)'''
 
||[[파일:김영훈답사노트2.jpg|150px]]<br />'''김영훈 선생 답사노트(2)'''
 
|}
 
|}
  
경기도자박물관은 공개 수집을 통해 구입한 조선시대 관요 자기 218점을 비롯해 620점(2007년 기준)의 유물과 현대 전통도자를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2004년 김영훈 선생에게 전국 가마터에 관한 답사 노트와 수집 도푠자료들을 기증받았다. 김영훈 선생의 답사자료는 1975년부터 1985년까지의 전국 가마터 답사기록으로 1920년대 일본인학자들의 가마터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자료들은 1970·80년대 도자유적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학술적인 연구 가치가 인정된다. [http://www.emuseum.go.kr/main E뮤지엄]에서 더 많은 소장품을 볼 수 있다.
+
경기도자박물관은 공개 수집을 통해 구입한 조선시대 관요 자기 218점을 비롯해 620점(2007년 기준)의 유물과 현대 전통도자를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2004년 김영훈 선생에게 전국 가마터에 관한 답사 노트와 수집 도편자료들을 기증받았다. 김영훈 선생의 답사자료는 1975년부터 1985년까지의 전국 가마터 답사기록으로 1920년대 일본인학자들의 가마터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자료들은 1970·80년대 도자유적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학술적인 연구 가치가 인정된다. [http://www.emuseum.go.kr/main E뮤지엄]에서 경기도자박물관의 더 많은 소장품을 볼 수 있다.
 
===박물관 건물의 의미===
 
===박물관 건물의 의미===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파일:박물관정면.jpg|150px]] <br />'''박물관 정면'''   
 
||[[파일:박물관정면.jpg|150px]] <br />'''박물관 정면'''   
||[[파일:박물관측면.jpg|150px]] <br />'''박물관 측면'''   
+
||[[파일:박물관측면.jpg|200px]] <br />'''박물관 측면'''   
||[[파일:박물관정상부분.jpg|150px]] <br />'''박물관 정상부분'''   
+
||[[파일:박물관정상부분.jpg|200px]] <br />'''박물관 정상부분'''   
 
|}
 
|}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42번째 줄: 46번째 줄:
 
|}
 
|}
  
경기도자박물관의 전체적인 외형은 도자기를 생산하는 긴 가마를 모티프 한 것으로 서울 예술의 전당을 설계한 김석철 건축가가 디자인하였다. 건물 양옆의 둥근 외벽과 2층 가운데의 올록볼록한 난간은 고려청자의 곡선을 표현한 것이며, 박물관 꼭대기의 피뢰침은 고려시대 정병에서 따온 것으로 한국의 전통 도자기의 특징들을 찾을 수 있다.  
+
경기도자박물관의 전체적인 외형은 도자기를 생산하는 긴 가마를 모티프 한 것으로 서울 예술의 전당을 설계한 김석철 건축가가 디자인하였다. 건물 양옆의 둥근 외벽과 2층 가운데의 올록볼록한 난간은 고려청자의 곡선을, 박물관 꼭대기의 피뢰침은 고려시대 정병에서 따온 것으로 한국 전통 도자기의 특징들을 박물관 건물에 결합시켰다.
 +
===전시실 구성===
 +
{|class="wikitable"
 +
||[[파일:도자문화실.jpg|200px]] <br />'''도자문화실''' 
 +
||[[파일:내부전경.jpg|250px]] <br />'''전시실 내부전경1'''
 +
||[[파일:전시실 내부.jpg|250px]] <br />'''전시실 내부전경2'''
 +
|}
 +
경기도자박물관의 1층에는 도자의 개념과 역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자문화실'''과 특별전을 다루는 '''기획전시실'''이 자리 잡았으며, 2층에서는 '''상설전시실'''이 있다.
 
===교육프로그램과 학술행사===
 
===교육프로그램과 학술행사===
 
{|class="wikitable"
 
{|class="wikitable"
 
||[[파일:신대리8 28호 12 13호 가마터 조사현장.jpg|150px]] <br />'''신대리 가마터 조사현장'''   
 
||[[파일:신대리8 28호 12 13호 가마터 조사현장.jpg|150px]] <br />'''신대리 가마터 조사현장'''   
 
||[[파일:도마리1호가마터 조사현장.jpg|150px]] <br />'''도마리1호 가마터 조사현장'''   
 
||[[파일:도마리1호가마터 조사현장.jpg|150px]] <br />'''도마리1호 가마터 조사현장'''   
||[[파일:김영훈선생기증자료집.jpg|150px]]<br />'''학술자료집'''
+
||[[파일:김영훈선생기증자료집.jpg|100px]]<br />'''학술자료집'''
||[[파일:|150px]]<br />'''교육프로그램'''
+
||[[파일:경기도자박물관 체험.jpg|100px]]<br />'''Clay Play 도자체험'''
 
|}
 
|}
  
경기도 광주 내의 소재한 320여개의 가마터를 발굴, 연구 활동으로 조선시대 백자에 대한 학술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 성과는 학술보고서 발간과 세미나 및 전시를 개최하면서 공유하고 있다. 또한 전시와 연계된 교육체험 프로그램들을 운영되고 있다.   
+
경기도 광주 내의 소재한 320여개의 가마터를 학술조사하면서 조선시대 백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성과는 학술보고서 발간, 세미나 및 전시개최의 활동으로 공개한다. 또한 연령층에 맞는 도자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지식 관계망==
 
==지식 관계망==
 +
<h3>경기도자박물관 디지털큐레이션에 대한 기본토대</h3>
 +
<googlemap width="200" height="300"  lat="37.45" lon="127.250" >
 +
3#00FFFF (#00FFFF00)
 +
37.4866, 127.1753
 +
37.48, 127.2364
 +
37.4862, 127.2581
 +
37.4862, 127.2581
 +
37.5324, 127.3231
 +
37.53, 127.3645
 +
37.4995, 127.3842
 +
37.4862, 127.3822
 +
37.4565, 127.3704
 +
37.4432, 127.3822
 +
37.4213, 127.401
 +
37.4026, 127.4118
 +
37.3845, 127.4197
 +
37.3869, 127.4403
 +
37.3611, 127.4433
 +
37.3227, 127.3921
 +
37.3, 127.3556
 +
37.2937, 127.3409
 +
37.278, 127.3478
 +
37.2733, 127.3192
 +
37.2647, 127.3005
 +
37.2741, 127.2749
 +
37.3289, 127.2808
 +
37.3564, 127.2217
 +
37.3305, 127.2029
 +
37.3477, 127.1882
 +
37.3368, 127.1399
 +
37.354, 127.133
 +
37.3861, 127.1773
 +
37.4268, 127.1931
 +
</googlemap>
 +
경기도자박물관이 위치 한 '''경기도 광주지역'''은 조선시대 자기 가마터가 다수 발견된다.   
 +
특히 이곳의 가마터는 조선시대 중앙관청인 '''사옹원(司饔院)'''과 연관이 있다. 사옹원은 진상품과 식사를 담당하던 관청으로 궐내 식사에 쓰이는 그릇 제작의 임무도 맡게 되었다.
 +
{|class="wikitable"
 +
!사옹원 관련 || 사이트 및 문헌자료
 +
|-
 +
|사옹원의 정의||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2583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
|-
 +
|사옹원의 소속관직과 역할 ||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4673&tabNodeId=NODE04241654&nodeId=NODE04241802#none|- 경국대전]]
 +
|-
 +
|사옹원에 소속된 사기공 380명|| [[http://www.krpia.co.kr/viewer?plctId=PLCT00004673&tabNodeId=NODE04241654&nodeId=NODE04241802#none 경국대전]]
 +
|}
 +
 +
{|class="wikitable"
 +
!실록에서 보는 조선시대의 백자|| 해당 문헌자료
 +
|-
 +
|15세기부터 활발했던 경기도 광주 지역의 가마운영 상황||[[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D0_B30_010_000_00020 세종실록 지리지]]
 +
|-
 +
|명나라 진상용 백자를 경기도 광주에서 진상하도록 명함|| [[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D0_A07_02A_15A_00020&solrQ=opDir%E2%80%A0ITKC_JT_D0$opInRes%E2%80%A0Y$prevQuery%E2%80%A0%EB%AA%85%20%EB%B0%B1%EC%9E%90$prevQuery2%E2%80%A0$query%E2%80%A0%EA%B4%91%EC%A3%BC$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4$solr_curPos%E2%80%A01$solr_solrId%E2%80%A0BD_ITKC_JT_D0_A07_02A_15A_00020 세종실록(1425년)]]
 +
|-
 +
|진상용 자기로 백자를 지정하며 그 생산과 판매를 통제함||[[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G0_A12_06A_07A_00010&solrQ=opDir%E2%80%A0ITKC_JT_G0$query%E2%80%A0%EB%B0%B1%EC%9E%90%20%EC%A7%84%EC%83%81$solr_sortField%E2%80%A0%EA%B7%B8%EB%A3%B9%EC%A0%95%EB%A0%AC_s%20%EC%9E%90%EB%A3%8CID_s$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1$solr_curPos%E2%80%A00$solr_solrId%E2%80%A0BD_ITKC_JT_G0_A12_06A_07A_00010 세조실록(1466년)]]
 +
|-
 +
|사옹방에서 사옹원으로 승격 그리고 제반업무 전담시킴|| [[http://db.itkc.or.kr/dir/item?itemId=JT#/dir/node?dataId=ITKC_JT_G0_A13_04A_04A_00040&solrQ=opDir%E2%80%A0ITKC_JT_G0$query%E2%80%A0%EC%82%AC%EC%98%B9%EC%9B%90$solr_sortField%E2%80%A0$solr_sortOrder%E2%80%A0$solr_secId%E2%80%A0JT_AA$solr_toalCount%E2%80%A029$solr_curPos%E2%80%A09$solr_solrId%E2%80%A0BD_ITKC_JT_G0_A13_04A_04A_00040 세조실록(1467년)]]
 +
|}
 +
참고자료
 +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7&cp_code=cp0516&index_id=cp05160096&content_id=cp051600960001&search_left_menu=3 조선 관요의 역사_한국콘텐츠진흥원]]
 +
* [[http://gjicp.ggcf.kr/archives/artwork/%EA%B4%91%EC%A3%BC-%EC%A1%B0%EC%84%A0%EB%B0%B1%EC%9E%90-%EC%9A%94%EC%A7%80?term=120&pn=9 광주 조선백자 요지_경기문화재연구원]]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김영훈 답사지도||우산리 가마터||발견유물||참고자료||기록자료
 +
|-
 +
|[[파일:우산리김영훈그림지도.jpg|200px]]<br/>1978.8.8.~1979.10.8.
 +
1981.5.5.~6.11.8.<br/>1982.10.10.답사
 +
||[[파일:우산리9호가마터전경.jpg|200px]]<br/>우산리 9호 가마터
 +
||[[파일:우산리출토묘지명(1).jpg|200px]]<br/>박건의 부인최씨(1439-1514) 묘지편
 +
||[[파일:성종후궁숙용심씨묘지명(중종11(1516)).jpg|200px]]<br/>성종후궁 숙용심씨 묘지명(1516)
 +
||박건의 부인최씨(1439-1514) 묘지편<br/>정옥형의 부인김씨(1483-1542) 묘지편<br/>가정 계사년(1533)이 새겨진 묘지편 수습되어<br/> 중종시대(1506-1544) 운영된 것으로 추정.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김영훈 답사지도||신대리 가마터||발견유물||참고자료||기록자료
 +
|-
 +
|[[파일:신대리18호김영훈그림지도.jpg|200px]]<br/>1980.10.22 답사
 +
|[[파일:신대리18호가마전경.jpg|200px]]<br/>신대리 18호 가마터
 +
||[[파일:신대리18호출토.jpg|200px]]<br/>신대리18호 출토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편
 +
||[[파일:보물645호백자철화항아리.jpg|200px]]<br/>보물 제645호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이화여대 소장
 +
||신대리 관요의 이설을 논함<br/>[[http://sjw.history.go.kr/search/inspectionDayList.do 승정원일기 숙종2년(1678년)]]<br/>
 +
1674~1676년 해당되는 간지가 새겨진 편들이 발견되어 운영기간 추정 가능
 +
|-
 +
|}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김영훈 답사지도||분원리 가마터||발견유물||참고자료||기록자료
 +
|-
 +
|[[파일:분원리요지김영훈그림지도.jpg|200px]]<br/>1975.11.16. 1978.8.8.-9. 답사
 +
|[[파일:분원리2호가마터전경.jpg|200px]]<br/>분호리 2호 가마터
 +
|[[파일:분원리출토백자청화접시.jpg|200px]]<br/>분원리 출토 백자청화접시
 +
||[[파일:백자청화꽃무늬접시국중박.jpg|200px]]<br/>백자청화꽃무늬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1752년~1883년까지 130여 년간 운영된 조선시대 마지막 관요
 +
|-
 +
|}
 +
 +
 
===관계정보===
 
===관계정보===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class="wikitable sortable" style="background:white; width:100%; text-align:center;"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항목A !! 항목B !! 관계 !! 비고
 
|-
 
|-
| [[조선시대 관요 출토 유물]]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신대리18호출토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편]]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 [[김영훈선생 기증유물]]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에 소장되었다 || A edm:currentLocation B
+
| [[신대리 가마터]] ||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영훈]]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조선왕조실록]] ||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김석철]] || [[경기도자박물관]]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사옹원]] ||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 A는 B와 관련이 있다 || A edm:isRelatedTo B
 
|-
 
|-
 
|}
 
|}
86번째 줄: 194번째 줄:
 
|-
 
|-
 
|}
 
|}
==주석==
 
<references/>
 
  
 
=='''참고문헌 및 사이트'''==
 
=='''참고문헌 및 사이트'''==
* 강경숙, 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시공사, 2005.
+
<small> * 강대규 외1인,『도자공예』, 솔출판사, 2004. </small>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 김영훈 선생 기증도편 자료집,2016.
+
 
* [http://www.ggcm.or.kr 한국도자재단]
+
<small> * 강경숙,『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시공사, 2005. </small>
* [https://ggmuseum.gg.go.kr/archives/256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
 
 +
<small> * 박정민,조선 전기 관요의 성립과 그 명칭에 대한 일고찰, 미술사와문화유산3, 2014. </small>
 +
 
 +
<small>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김영훈 선생 기증도편 자료집』,2016. </small>
 +
 
 +
<small>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광주백자-발굴로 다시 쓰는 분원 이야기-』,2017. </small>
 +
 
 +
<small>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백자에 닮긴 삶과 죽음』,2019.</small>
 +
 
 +
<small> * [http://www.ggcm.or.kr 한국도자재단] </small>
 +
 
 +
<small> * [https://ggmuseum.gg.go.kr/archives/256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small>
 +
 
 +
<small> * [http://www.cha.go.kr/main.html 문화재청] </small>
  
 
[[분류:공립박물관(경기도)]]
 
[[분류:공립박물관(경기도)]]
 
[[분류:장소]]
 
[[분류:장소]]

2020년 5월 5일 (화) 23:57 기준 최신판

경기도자박물관(京機陶磁博物館)
대표명칭 경기도자박물관
한자표기 京機陶磁博物館
주소 경기 광주시 실촌읍 삼리 72-1
관련단체 한국도자재단
관련유물유적 경기도 일대의 가마터



정의

경기도 소재의 도자 전문 박물관이다.

내용

경기도자박물관은 조선왕실 자기인 백자를 제작하던 관요가 설치되었던 경기도 광주에 위치하고 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광주지역은 질이 우수한 백자를 생산한 일부 지역 가운데 하나로 기록되어 있다. 실제 광주지역의 가마터에서는 고급 백자들이 발굴되었다. 이에 경기도자박물관은 조선 도자의 흐름을 이끌었던 광주 지역의 역사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초기청자 및 백자부터 근현대 도자와 관련된 자료들을 수집하여 보존하고 전시하고 있다.

주요 소장품

백자상감모란문발.jpg
백자상감모란문발
백자철화 매죽문 편병 PS0100332700700171300000 0.jpg
백자철화매죽문편병
백자 호(진단구).jpg
백자호
백자발 신대리.jpg
신대리 출토 백자
김영훈답사노트1.jpg
김영훈 선생 답사노트(1)
김영훈답사노트2.jpg
김영훈 선생 답사노트(2)

경기도자박물관은 공개 수집을 통해 구입한 조선시대 관요 자기 218점을 비롯해 620점(2007년 기준)의 유물과 현대 전통도자를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2004년 김영훈 선생에게 전국 가마터에 관한 답사 노트와 수집 도편자료들을 기증받았다. 김영훈 선생의 답사자료는 1975년부터 1985년까지의 전국 가마터 답사기록으로 1920년대 일본인학자들의 가마터 보고서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그의 자료들은 1970·80년대 도자유적의 상황을 알 수 있는 자료라는 점에서 학술적인 연구 가치가 인정된다. E뮤지엄에서 경기도자박물관의 더 많은 소장품을 볼 수 있다.

박물관 건물의 의미

박물관정면.jpg
박물관 정면
박물관측면.jpg
박물관 측면
박물관정상부분.jpg
박물관 정상부분
가마.jpg
가마
국보제97호청자 음각연꽃넝쿨무늬 매병정병.jpg
국보 제97호 청자매병
국보제92호청동 은입사 물가 풍경 무늬 정병.jpg
국보 제92호 정병
건축가김석철.jpg
김석철 건축가

경기도자박물관의 전체적인 외형은 도자기를 생산하는 긴 가마를 모티프 한 것으로 서울 예술의 전당을 설계한 김석철 건축가가 디자인하였다. 건물 양옆의 둥근 외벽과 2층 가운데의 올록볼록한 난간은 고려청자의 곡선을, 박물관 꼭대기의 피뢰침은 고려시대 정병에서 따온 것으로 한국 전통 도자기의 특징들을 박물관 건물에 결합시켰다.

전시실 구성

도자문화실.jpg
도자문화실
내부전경.jpg
전시실 내부전경1
전시실 내부.jpg
전시실 내부전경2

경기도자박물관의 1층에는 도자의 개념과 역사 등의 정보를 제공하는 도자문화실과 특별전을 다루는 기획전시실이 자리 잡았으며, 2층에서는 상설전시실이 있다.

교육프로그램과 학술행사

신대리8 28호 12 13호 가마터 조사현장.jpg
신대리 가마터 조사현장
도마리1호가마터 조사현장.jpg
도마리1호 가마터 조사현장
김영훈선생기증자료집.jpg
학술자료집
경기도자박물관 체험.jpg
Clay Play 도자체험

경기도 광주 내의 소재한 320여개의 가마터를 학술조사하면서 조선시대 백자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연구성과는 학술보고서 발간, 세미나 및 전시개최의 활동으로 공개한다. 또한 연령층에 맞는 도자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지식 관계망

경기도자박물관 디지털큐레이션에 대한 기본토대

경기도자박물관이 위치 한 경기도 광주지역은 조선시대 자기 가마터가 다수 발견된다. 특히 이곳의 가마터는 조선시대 중앙관청인 사옹원(司饔院)과 연관이 있다. 사옹원은 진상품과 식사를 담당하던 관청으로 궐내 식사에 쓰이는 그릇 제작의 임무도 맡게 되었다.

사옹원 관련 사이트 및 문헌자료
사옹원의 정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사옹원의 소속관직과 역할 [경국대전]
사옹원에 소속된 사기공 380명 [경국대전]
실록에서 보는 조선시대의 백자 해당 문헌자료
15세기부터 활발했던 경기도 광주 지역의 가마운영 상황 [세종실록 지리지]
명나라 진상용 백자를 경기도 광주에서 진상하도록 명함 [세종실록(1425년)]
진상용 자기로 백자를 지정하며 그 생산과 판매를 통제함 [세조실록(1466년)]
사옹방에서 사옹원으로 승격 그리고 제반업무 전담시킴 [세조실록(1467년)]

참고자료

김영훈 답사지도 우산리 가마터 발견유물 참고자료 기록자료
우산리김영훈그림지도.jpg
1978.8.8.~1979.10.8.

1981.5.5.~6.11.8.
1982.10.10.답사

우산리9호가마터전경.jpg
우산리 9호 가마터
우산리출토묘지명(1).jpg
박건의 부인최씨(1439-1514) 묘지편
성종후궁숙용심씨묘지명(중종11(1516)).jpg
성종후궁 숙용심씨 묘지명(1516)
박건의 부인최씨(1439-1514) 묘지편
정옥형의 부인김씨(1483-1542) 묘지편
가정 계사년(1533)이 새겨진 묘지편 수습되어
중종시대(1506-1544) 운영된 것으로 추정.
김영훈 답사지도 신대리 가마터 발견유물 참고자료 기록자료
신대리18호김영훈그림지도.jpg
1980.10.22 답사
신대리18호가마전경.jpg
신대리 18호 가마터
신대리18호출토.jpg
신대리18호 출토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편
보물645호백자철화항아리.jpg
보물 제645호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이화여대 소장
신대리 관요의 이설을 논함
[승정원일기 숙종2년(1678년)]

1674~1676년 해당되는 간지가 새겨진 편들이 발견되어 운영기간 추정 가능

김영훈 답사지도 분원리 가마터 발견유물 참고자료 기록자료
분원리요지김영훈그림지도.jpg
1975.11.16. 1978.8.8.-9. 답사
분원리2호가마터전경.jpg
분호리 2호 가마터
분원리출토백자청화접시.jpg
분원리 출토 백자청화접시
백자청화꽃무늬접시국중박.jpg
백자청화꽃무늬접,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752년~1883년까지 130여 년간 운영된 조선시대 마지막 관요


관계정보

항목A 항목B 관계 비고
신대리18호출토 백자철화운룡문항아리 편 경기도자박물관 A는 B에 소장되었다 A edm:currentLocation B
신대리 가마터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경기도자박물관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조선왕조실록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사옹원 조선시대 광주지역 관요 A는 B와 관련이 있다 A edm:isRelatedTo B

시간정보

시간 내용
2001년 조선관요박물관으로 개관
2008년 경기도자박물관으로 변경

공간정보

위도 경도 내용
37.351351 127.327598 경기도자박물관은 조선시대 관요였던 경기도 광주에 위치한다.

참고문헌 및 사이트

* 강대규 외1인,『도자공예』, 솔출판사, 2004.

* 강경숙,『한국 도자기 가마터 연구』, 시공사, 2005.

* 박정민,조선 전기 관요의 성립과 그 명칭에 대한 일고찰, 미술사와문화유산3, 2014.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김영훈 선생 기증도편 자료집』,2016.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광주백자-발굴로 다시 쓰는 분원 이야기-』,2017.

* (재)한국도자재단 경기도자박물관,『백자에 닮긴 삶과 죽음』,2019.

* 한국도자재단

* 경기도 박물관 미술관

* 문화재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