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r)
(관계정보)
 
(한 명의 사용자에 의한 9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4번째 줄: 4번째 줄:
 
|분류 = 박물관
 
|분류 = 박물관
 
|설립 시기 = 1987년 4월 5일
 
|설립 시기 = 1987년 4월 5일
|규모 = 826.69㎢ (동경 127°05 ~ 127°27, 북위 37°36′~ 38°11′에 걸쳐 있음)
+
|규모 = 826.69㎢ (동경 127°05 ~ 127°27, 북위 37°36′~ 38°11′에 걸쳐 있음) 실제 전시길 건축규모는 4,617m2
 
|주소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 51-7번지
 
|주소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 51-7번지
 
|사진 = 산림박물관.png
 
|사진 = 산림박물관.png
11번째 줄: 11번째 줄:
  
 
== 정의 ==
 
== 정의 ==
 +
<googlemap width="600" height="300" lat="37.752799" lon="127.159169" type="normal" zoom="12"
 +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755478, 127.164875,
 +
</googlemap>
 +
광릉수목원 산하 산림박물관은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앞두
 +
고 산림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산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기 위해 설립된 산림교
 +
육장으로 산림에 대한 국민 계도, 산림식물에 관한 현장 교육, 임업에 관한 국제적 정
 +
보교환, 여가 선용 및 관광자원 개발이 목적1)으로 설립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산림박
 +
물관으로 1987년 4월 5일에 개관하여 현재 32년째를 맞이하였다.
 +
1999년 국립산림박물관으로 산림청 산하 국가기관으로 개관한 후 지금까지 산림 사
 +
료 영구 보존, 전시, 및 산림과 인간의 관계를 교감할 수 있는 자연교육을 실시하고 있
 +
다. 국립산림박물관 개관 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도립산림박물관을 설립하는 계기가
 +
되었다. <ref>이현채, 정승선, 주진순, 강우창 (2010). 국내 산림박물관 현황 및 전시연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
학술발표회 자료집, 14</ref>
  
 
== 내용 ==
 
== 내용 ==
 +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조 지하1층, 지상2층의
 +
4,617m2
 +
(1,400평)로 지상1층(2.278m2
 +
)에는 자료실,
 +
특별전시실 및 관리실이 있고, 지상2층(1,980m2
 +
)에
 +
는 전시실과 시청각실이 배치되어있다. 전시실은 주
 +
제별로 5개의 전시실로 나뉘어져 있다. 2011년 산림
 +
박물관 리모델링 전에 전시물은 산림자원과 기술, 산
 +
림과 인간, 세계의 임업, 한국의 임업, 한국의 자연,
 +
시청각실, 특별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박물관
 +
의 리모델링 후에는 새로운 기법으로 산림에 대한 이
 +
해와 산림환경정보 제공을 위한 문화공간을 조성 하
 +
였으며, 산림에 대한 일반정보 대량 전시와 산림 및
 +
임업역사가 강조되었으나, 체험요소가 빈약하며 쇼
 +
케이스 전시물과 패널위주의 전시기법에 치우쳐 있
 +
다.<ref>김용수, 하성근, 신현탁, 이명훈, 이순주, 강신구 (2012).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전시경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
지, 16(3), 55</ref>
 +
*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한 포천 시는 65%이상의 산림 율을 보이는 곳으로,
 +
조선시대 양주 목에 소속되었다. 포천지역 백성들은 광릉(光陵) 조성 이후 왕실림(王室林, Royal
 +
forest)을 관리⋅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일제 강점기 광릉묘포장 설치 이후 주민들은 산림
 +
시업을 담당하며 산림 및 조경에 대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었다. 광릉수목원 설립(1987), 국립수목
 +
원 개원(1999),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2010)에 이어 현재까지 주민들은 산림 및 조경 관련
 +
산업에 이바지하고 있다. 2010년 포천시 5개면(소흘읍, 내촌면, 가산면, 군내면, 화현면)과 남양주시 진접읍, 별
 +
내면, 의정부시 송산 2동 일부 지역이 유네스코에 의해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
(Biosphere Reserve)’으로 지정되었다6).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에 포함된 곳 중 소흘읍에
 +
위치한 산림박물관은 핵심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광릉숲은 보호지역의 생태계보전과
 +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실행방안으로 제시된 것이다7). 경기도의회에서는 광
 +
릉숲이 생물권보전지역 등재 이후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조례’를 제정하여 ‘합리
 +
적인 관리와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관리⋅지원을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한바 있다.
 +
* 산림박물관은 산림사료와 목제 관련 수집품을 전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림박물
 +
관의 특성을 살리지 못했다. 관람객들이 더위와 추위를 피하기 위해 잠시 머무는 공간
 +
으로 이용하는 패턴을 보였다. <ref>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ref>
 +
*
 +
산림박물관에 대해 국립수목원에서는 “산림과 임업에 관한 자료 수집 및 국민 계도,
 +
현장학습, 표본 분류 동정, 수장, 전시 및 연구를 목적으로 건립”되었다고 정의하였다.
 +
하성근(2012)의 경우, “산림박물관은 산림의 역사, 문화, 환경 생태 전반에 관한 생물자
 +
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료를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전시, 교육하여 자연을 알리는
 +
산림문화 공간을 제공하는 시설”35)이라고 정의하였다. 산림박물관에 대한 다양한 정의
 +
를 종합하면, ‘산림박물관은 산림과 관련한 자료 수집, 전시, 보존, 연구, 교육을 통하여
 +
시민들에게 산림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
1987년 산림박물관의 조성초기에는 유물 중심의 시각적인 전시가 주를 이루었다. 그
 +
러나 현재는 조성 당시의 사회, 경제적 상황과 많이 다르다. 사회적으로는 급속한 고령
 +
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운동부족으로 인한 만성질환과 자연과의 유리로 인한 우울감이
 +
증가된 사회적 여건이 달라졌다.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 시간의 증대는 국민의 여가 패
 +
턴을 변화시켰고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는 야외 휴양활동으로 이어졌고, 산림휴양요구
 +
또한 다양화 되었다. <ref>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ref>
  
 
== 지식관계망 ==
 
== 지식관계망 ==
 
=== 관계정보 ===
 
=== 관계정보 ===
=== 시간정보 ===
+
{{NetworkGraph | title=산림청국립수목원_산림박물관.lst}}
=== 공간정보 ===
+
 
 +
[http://dh.aks.ac.kr/Edu/wiki/index.php/%EC%82%B0%EB%A6%BC%EC%B2%AD%EA%B5%AD%EB%A6%BD%EC%88%98%EB%AA%A9%EC%9B%90_%EC%82%B0%EB%A6%BC%EB%B0%95%EB%AC%BC%EA%B4%80.lst 산림청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lst]
  
 
== 시각자료 ==
 
== 시각자료 ==
=== 제목 ===
+
=== 파노라마 ===
 
=== 갤러리 ===
 
=== 갤러리 ===
 
=== 동영상 ===
 
=== 동영상 ===
 +
<html>
 +
<iframe width="640" height="360" src="https://www.youtube.com/embed/qpwSEqduX1c"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html>
  
 
== 주석 ==
 
== 주석 ==
 +
<references/>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
 +
<references/>김용수, 하성근, 신현탁, 이명훈, 이순주, 강신구 (2012).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전시경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
지, 16(3), 55
 +
<references/>이현채, 정승선, 주진순, 강우창 (2010). 국내 산림박물관 현황 및 전시연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
학술발표회 자료집, 14
 +
 
== 참고문헌 ==
 
== 참고문헌 ==
 +
*
 +
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
 +
*
 +
김용수, 하성근, 신현탁, 이명훈, 이순주, 강신구 (2012).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전시경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
지, 16(3), 55
 +
*
 +
이현채, 정승선, 주진순, 강우창 (2010). 국내 산림박물관 현황 및 전시연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
학술발표회 자료집, 14

2020년 4월 3일 (금) 09:58 기준 최신판


정의

광릉수목원 산하 산림박물관은 1986년 아시안게임과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앞두 고 산림 관련 자료를 전시하고 산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추기 위해 설립된 산림교 육장으로 산림에 대한 국민 계도, 산림식물에 관한 현장 교육, 임업에 관한 국제적 정 보교환, 여가 선용 및 관광자원 개발이 목적1)으로 설립되었다. 우리나라 최초의 산림박 물관으로 1987년 4월 5일에 개관하여 현재 32년째를 맞이하였다. 1999년 국립산림박물관으로 산림청 산하 국가기관으로 개관한 후 지금까지 산림 사 료 영구 보존, 전시, 및 산림과 인간의 관계를 교감할 수 있는 자연교육을 실시하고 있 다. 국립산림박물관 개관 후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도 도립산림박물관을 설립하는 계기가 되었다. [1]

내용

건물은 철근 콘크리트조 지하1층, 지상2층의 4,617m2 (1,400평)로 지상1층(2.278m2 )에는 자료실, 특별전시실 및 관리실이 있고, 지상2층(1,980m2 )에 는 전시실과 시청각실이 배치되어있다. 전시실은 주 제별로 5개의 전시실로 나뉘어져 있다. 2011년 산림 박물관 리모델링 전에 전시물은 산림자원과 기술, 산 림과 인간, 세계의 임업, 한국의 임업, 한국의 자연, 시청각실, 특별전시실 등으로 구성되었으나 박물관 의 리모델링 후에는 새로운 기법으로 산림에 대한 이 해와 산림환경정보 제공을 위한 문화공간을 조성 하 였으며, 산림에 대한 일반정보 대량 전시와 산림 및 임업역사가 강조되었으나, 체험요소가 빈약하며 쇼 케이스 전시물과 패널위주의 전시기법에 치우쳐 있 다.[2]

  • 경기도 동북부에 위치한 포천 시는 65%이상의 산림 율을 보이는 곳으로,

조선시대 양주 목에 소속되었다. 포천지역 백성들은 광릉(光陵) 조성 이후 왕실림(王室林, Royal forest)을 관리⋅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일제 강점기 광릉묘포장 설치 이후 주민들은 산림 시업을 담당하며 산림 및 조경에 대한 지식을 축적할 수 있었다. 광릉수목원 설립(1987), 국립수목 원 개원(1999),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지정(2010)에 이어 현재까지 주민들은 산림 및 조경 관련 산업에 이바지하고 있다. 2010년 포천시 5개면(소흘읍, 내촌면, 가산면, 군내면, 화현면)과 남양주시 진접읍, 별 내면, 의정부시 송산 2동 일부 지역이 유네스코에 의해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Biosphere Reserve)’으로 지정되었다6).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에 포함된 곳 중 소흘읍에 위치한 산림박물관은 핵심지역 내에 위치하고 있다. 광릉숲은 보호지역의 생태계보전과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는 실행방안으로 제시된 것이다7). 경기도의회에서는 광 릉숲이 생물권보전지역 등재 이후 ‘광릉숲 생물권보전지역 관리조례’를 제정하여 ‘합리 적인 관리와 생물권보전지역의 보전⋅관리⋅지원을 촉진하는 토대’를 마련한바 있다.

  • 산림박물관은 산림사료와 목제 관련 수집품을 전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산림박물

관의 특성을 살리지 못했다. 관람객들이 더위와 추위를 피하기 위해 잠시 머무는 공간 으로 이용하는 패턴을 보였다. [3]

산림박물관에 대해 국립수목원에서는 “산림과 임업에 관한 자료 수집 및 국민 계도, 현장학습, 표본 분류 동정, 수장, 전시 및 연구를 목적으로 건립”되었다고 정의하였다. 하성근(2012)의 경우, “산림박물관은 산림의 역사, 문화, 환경 생태 전반에 관한 생물자 원 서비스 제공을 위해 자료를 수집, 관리, 보존, 조사, 전시, 교육하여 자연을 알리는 산림문화 공간을 제공하는 시설”35)이라고 정의하였다. 산림박물관에 대한 다양한 정의 를 종합하면, ‘산림박물관은 산림과 관련한 자료 수집, 전시, 보존, 연구, 교육을 통하여 시민들에게 산림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1987년 산림박물관의 조성초기에는 유물 중심의 시각적인 전시가 주를 이루었다. 그 러나 현재는 조성 당시의 사회, 경제적 상황과 많이 다르다. 사회적으로는 급속한 고령 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운동부족으로 인한 만성질환과 자연과의 유리로 인한 우울감이 증가된 사회적 여건이 달라졌다. 소득수준 향상과 여가 시간의 증대는 국민의 여가 패 턴을 변화시켰고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는 야외 휴양활동으로 이어졌고, 산림휴양요구 또한 다양화 되었다. [4]

지식관계망

관계정보


산림청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lst

시각자료

파노라마

갤러리

동영상

주석

  1. 이현채, 정승선, 주진순, 강우창 (2010). 국내 산림박물관 현황 및 전시연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14
  2. 김용수, 하성근, 신현탁, 이명훈, 이순주, 강신구 (2012).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전시경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지, 16(3), 55
  3. 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
  4. 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
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

김용수, 하성근, 신현탁, 이명훈, 이순주, 강신구 (2012).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전시경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지, 16(3), 55 이현채, 정승선, 주진순, 강우창 (2010). 국내 산림박물관 현황 및 전시연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14

참고문헌

김은경&이해주, 포천지역 산림문화자산 해석을 통한 국립산림박물관 체험학습 콘텐츠 개발, 박물관학보 博物館學報 Journal of Museum Studies 36 (2019.6), 21~42쪽

김용수, 하성근, 신현탁, 이명훈, 이순주, 강신구 (2012). 우리나라 산림박물관의 전시경향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지, 16(3), 55

이현채, 정승선, 주진순, 강우창 (2010). 국내 산림박물관 현황 및 전시연출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 학술발표회 자료집,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