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인혁"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경력)
잔글 (경력)
18번째 줄: 18번째 줄:
 
*2018. 11 -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보존회 전수교육생
 
*2018. 11 -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보존회 전수교육생
 
*2019. 05 ~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예릉봉향회(睿陵奉香會) 회원
 
*2019. 05 ~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예릉봉향회(睿陵奉香會) 회원
*2019. 08 ~ 2019. 12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삼릉 내 묘역 및 태실 역사성 회복 연구용역」 연구보조원
+
*2019. 08 ~ 2019. 12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삼릉 내 묘역 및 태실 역사성 회복 연구」 연구보조원
  
 
===학력===  
 
===학력===  

2020년 3월 9일 (월) 15:41 판


About Me

1995년 충북 제천 출생. 자(字)는 헌성(獻誠)[1], 호(號)는 화인(和因)[2]이다. 신라대학교, 안동대학교 사학과를 거쳐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에 진학, 인문정보학 전공 석사과정에 재학중이다. 관심분야는 선진유가(先秦儒家), 송명리학(宋明理學)과 같은 유학(儒學)을 포함하여 조선시대 국가제례(國家祭禮)와 예학(禮學) 및 일제강점기 왕공족(王公族) · 이왕직(李王職) · 조선귀족(朝鮮貴族), 일본 천황가(天皇家) · 미야케(宮家) · 화족(華族) 등 근대 동아시아 세계의 ‘특수신분’이다. 현재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이자 국가무형문화재 제56호 종묘제례(宗廟祭禮)와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社稷大祭) 및 조선왕릉(朝鮮王陵), 환구대제(圜丘大祭), 칠궁제(七宮祭)와 같은 왕실 제례 종합전승교육을 수료하고 사직대제보존회(社稷大祭保存會) 회원으로 활동하며 각종 국가제례의 제관으로 봉무하고 있다.

경력

  • 2014. 11. ~ 현재 종묘·사직대제보존회 종묘·사직대제 제관(祭官)
  • 2017. 03 ~ 2017. 10. 역동서원(易東書院) 유학(幼學)
  • 2018. 11 - 현재 국가무형문화재 제111호 사직대제보존회 전수교육생
  • 2019. 05 ~ 현재 유네스코 세계유산 조선왕릉 예릉봉향회(睿陵奉香會) 회원
  • 2019. 08 ~ 2019. 12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서삼릉 내 묘역 및 태실 역사성 회복 연구」 연구보조원

학력

조선/대한제국의 제향공간


옛 칠궁 터의 위치

국내 현존 사직단/유지 소재지 일람


일제강점기 식민지 조선의 신사

도쿄의 한국사 관련 사적지


와키다 나오카타의 활동지

제관 봉무 경력

신위명(神位名) 봉무년도·제례명
정조 선황제(正祖 宣皇帝)·효의선황후(孝懿宣皇后) 청풍김씨(淸風金氏) 2014년 종묘 추향대제 묘사(廟司)·우전관(右奠官)[3]
문조 익황제(文祖 翼皇帝)·신정익황후(神貞翼皇后) 풍양조씨(豐壤趙氏) 2015년 종묘 추향대제 묘사·우전관
순조 숙황제(純祖 肅皇帝)·순원숙황후(純元肅皇后) 안동김씨(安東金氏) 2016년 종묘 추향대제 재랑(齋郞)·외봉관(外奉官)[4]
문희공(文僖公) 우탁(禹倬) 2017년 역동서원 춘계향사 찬인(贊引)[5]
장조 의황제(莊祖 懿皇帝)·헌경의황후(獻敬懿皇后) 풍산홍씨(豊山洪氏) 2017년 종묘 춘향대제 축사(祝史)·내봉관(內奉官)[6]
후직지신(后稷之神) 2017년 사직대제 진폐작주관(進幣爵酒官)[7]
문희공 우탁 2017년 역동서원 추계향사 찬인
고종 태황제(高宗 太皇帝)·명성태황후(明成太皇后) 여흥민씨(驪興閔氏) 2017년 종묘 추향대제 묘사·우전관
숙종 원효대왕(肅宗 元孝大王)·인경왕후(仁敬王后) 광산김씨(光山金氏)·인현왕후(仁顯王后) 여흥민씨(驪興閔氏)·인원왕후(仁元王后) 경주김씨(慶州金氏) 2018년 종묘 춘향대제 내재랑(內齋郞)
회은황세손(懷隱皇世孫) 이구(李玖) 2018년 회인원 기신친향례[8]
집사자(執事者)
후직지신 2018년 사직대제 재랑·집준자(執樽者)[9]
명성태황후 여흥민씨 2018년 홍릉(洪陵) 기신친향례 집준자
화경숙빈(和敬淑嬪) 해주최씨(海州崔氏) 2018년 칠궁(七宮) 제향 축사
고종 태황제 · 명성태황후 여흥민씨 2018년 종묘 추향대제 축사·내봉관
고종 태황제 2019년 홍릉 기신친향례 집준자
문조 익황제 · 신정익황후 풍양조씨 2019년 수릉(綏陵) 기신제향 집준자
순조 숙황제 · 순원숙황후 안동김씨 2019년 종묘 춘향대제 내재랑
의민황태자(懿愍皇太子) · 자행황태자비(慈行皇太子妃) 이씨(李氏) 2019년 영원(英園) 기신친향례 집사자
철종 장황제(哲宗 章皇帝) · 철인장황후(哲仁章皇后) 안동김씨(安東金氏) 2019년 예릉(睿陵) 기신제 집사자
문종 성효대왕(文宗 聖孝大王) · 현덕왕후(顯德王后) 안동권씨(安東權氏) 2019년 종묘 추향대제 묘사·우전관

각주

  1. 고구려 말기 권신이었던 연남생(淵男生)의 아들 연헌성(淵獻誠)의 이름에서 취함. 매사 정성을 다해 뭇 사람들에게 이롭고자 한 뜻이나 연헌성은 스스로의 이름 자에 걸맞는 행동을 하지 못하였기에 그보다 나은 행동을 취하고자 스스로 헌성이라 명명함.
  2. 『論語』「子路」, ‘子曰君子和而不同, 小人同而不和。’라는 구절과 「爲政」의 ‘子張問十世可知也, 子曰殷因於夏禮, 所損益可知也, 周因於殷禮, 所損益可知也, 其或繼周者, 雖百世可知也。’에서 취함.
  3. 종묘에서 제사 지낼 때, 하루 전날 종묘서(宗廟署) 소속 관원들을 데리고 종묘에 들어가 안팎을 청소하던 벼슬아치. 현행 종묘제례에서는 왕비의 신주를 감실에서 꺼내 제사 받으실 자리로 옮기고 왕비의 신주에 잔을 올리는 제관이다.
  4. 신실 밖에 위치한 준상(樽床)에서 집준관이 잔에 술을 따르면 잔을 받아 신실 내에 내봉관에게 전해주는 제관.
  5. 제사를 거행하면서 제사의 절차대로 헌관(獻官)을 인도하여 도와주는 제관.
  6. 신실로 출입하는 판문(板門)에 서서 외봉관이 신위 앞에 올릴 술잔을 건내주면 이를 헌관에게 전해주는 제관.
  7. 국가의 대사(大祀) 때 임명되는 제관으로 신위에 바칠 폐백이나 술잔을 올리는 역할을 맡음. 주로 이조판서(吏曹判書)가 맡았으며 판서가 유고로 인해 제례에 불참했을 경우 차관(次官)인 이조참의(吏曹參議)가 대행했음.
  8. 국왕·황제가 행행(幸行)하여 능(陵)·원(園)·묘(墓)등에서 기신제를 올릴 때 직접 초헌관(初獻官)을 맡을 경우 이를 친향(親享)이라고 한다.
  9. 제례 때 준뢰(樽罍 : 제례 때 술을 담는 그릇)를 담당하던 제관.

실습

semantic query visual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