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7(영화)"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에 의한 12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 |||
14번째 줄: | 14번째 줄: | ||
=='''정의'''== | =='''정의'''== | ||
+ | [[1987(영화]]는 2017년 12월 27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br/> | ||
+ | 1987년.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시작으로 사람들이 힘을 합해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독재정치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실제 과정 및 사건 등을 다룬 내용이다. | ||
=='''내용'''== | =='''내용'''== | ||
78번째 줄: | 80번째 줄: | ||
===출연진=== | ===출연진=== | ||
#주연 | #주연 |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46666 김윤석]박처장 역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59818 하정우] 공안부장 역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4431 유해진]한병용 역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362970 김태리]연희 역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39882 박희순]조반장 역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114361 이희준]윤상삼 기자 역 |
#조연 | #조연 |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39674 유승목]유과장 역 | #*[https://movie.naver.com/movie/bi/pi/basic.nhn?code=39674 유승목]유과장 역 | ||
151번째 줄: | 153번째 줄: | ||
===인물 관계망=== | ===인물 관계망=== | ||
− | + | <html> | |
+ | <script>function reload() {window.location.reload();} </script> | ||
+ | <input type="button" value="Graph" onclick="reload();"> | ||
+ | <iframe width="90%" height="480px" src="http://digerati.aks.ac.kr/DhLab/hufs/2019-1a/smj/networkgraph/1987.htm" frameborder="0"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예고편'''== | =='''예고편'''== | ||
167번째 줄: | 173번째 줄: | ||
</html> | </html> | ||
− | ==''' | + | =='''멀티미디어'''== |
* '''포스터''' | * '''포스터''' | ||
<gallery> | <gallery> | ||
173번째 줄: | 179번째 줄: | ||
파일:1987포스터2.jpg | 파일:1987포스터2.jpg | ||
</gallery> | </gallery> | ||
− | |||
− | |||
* '''스틸컷''' | * '''스틸컷''' | ||
<gallery> | <gallery> | ||
188번째 줄: | 192번째 줄: | ||
파일:1987스틸컷10.jpg | 파일:1987스틸컷10.jpg | ||
</gallery> | </gallery> | ||
+ | * '''관련 영상''' | ||
+ | '''방구석 1열 영상 - 1987 & 택시운전사'''<br/>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CNcMGgcbA80"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고증'''== | + | =='''고증'''<ref>[https://namu.wiki/w/1987(%EC%98%81%ED%99%94)/%ED%83%90%EA%B5%AC#s-3 1987(영화)/탐구]나무위키</ref>== |
* 영화에서 작중 시기는 1987년 초부터 6월 항쟁 시기이지만 도중에 나오는 [[유재하]] 노래의 음반은 실제로 재판은 1987년 8월, 초판은 녹음일이 3월이므로 일러도 4월에 발매되었다. | * 영화에서 작중 시기는 1987년 초부터 6월 항쟁 시기이지만 도중에 나오는 [[유재하]] 노래의 음반은 실제로 재판은 1987년 8월, 초판은 녹음일이 3월이므로 일러도 4월에 발매되었다. | ||
+ | * [[강진규]]가 대공분실 신참자에, 물고문 도중 직접 [[박종철]]을 물속에 밀어넣은 것이 아니고 다리만 잡은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강진규]]는 고참 공안형사였으며, 사후 체포된 동료는 "[[강진규]]가 [[박종철]]의 머리를 직접 물 속에 집어넣었다"고 주장했다. | ||
* 접견기록부에 '없습니다', '보였습니다' 등으로 적혀있다. 이 당시는 '읍니다'가 맞춤법에 맞는 표기였고 '습니다'로 개정된 것은 1989년이다. | * 접견기록부에 '없습니다', '보였습니다' 등으로 적혀있다. 이 당시는 '읍니다'가 맞춤법에 맞는 표기였고 '습니다'로 개정된 것은 1989년이다. | ||
* [[유해진]]이 연기한 한병용 교도관은, 실존 인물인 [[한재동]] 교도관과 [[전병용]] 교도관 2명의 이야기를 조합하여 나온 캐릭터이다. 당사자들이 정년퇴직 이후에 민주화 운동을 도왔다는 사실을 직접 밝히기 전까지, [[이부영]] 등은 이 사람들에 대해 끝까지 함구해줬다. 이런 이유로 이 2명의 교도관들의 정체는 숨겨졌고, 한병용과는 다르게 고문을 당하지 않았다. | * [[유해진]]이 연기한 한병용 교도관은, 실존 인물인 [[한재동]] 교도관과 [[전병용]] 교도관 2명의 이야기를 조합하여 나온 캐릭터이다. 당사자들이 정년퇴직 이후에 민주화 운동을 도왔다는 사실을 직접 밝히기 전까지, [[이부영]] 등은 이 사람들에 대해 끝까지 함구해줬다. 이런 이유로 이 2명의 교도관들의 정체는 숨겨졌고, 한병용과는 다르게 고문을 당하지 않았다. | ||
+ | * [[이부영]]으로부터의 편지는 [[한재동]] 교도관을 통해 [[전병용]] 교도관에게 전달되었고, 이후 [[김정남]]에게 전달되었다. 영화에서는 [[한재동]]의 역할은 연희가 나눠 가졌다. | ||
+ | * 실제 사건에서는 휴지에 편지를 써서 전달하였으나, 영화에서는 잡지(선데이서울) 사이에 편지를 써서 전달한 것으로 나온다. | ||
+ | * 극중 [[최환]] 검사는 영화 중반부터 검사직을 사임하고 변호사로 등장한다. 그러나 실제 [[최환]] 검사는 1990년대 말까지 검사 고위직으로 활동하였고, 은퇴 이후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 ||
+ | * [[이한열]]이 최루탄을 맞고 쓰러질 때 이를 본 친구가 '한열아!'라고 외치며 다가와 [[이한열]]을 부축하는데, 실제로 [[이한열]]을 부축한 [[이종창]]은 [[이한열]]과 면식이 없었다. | ||
+ | * [[이한열]]과 연희의 부분은 허구다. 연희는 영화에서 창작된 인물로, "당시 보통 사람들, 서민 사람의 마음으로 저항하고 싶지만 저항할 수 없었던,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인물이 필요"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 ||
− | + | =='''논란'''== | |
− | + | ===''''안 계장' 미화 보이콧'''<ref>[http://www.hani.co.kr/arti/society/rights/827123.html 강용주, 그는 왜 영화 ‘1987’을 보이콧하나] 한겨레신문</ref>=== | |
+ | ''영화 속 ‘안 계장’으로 등장하는 [[안유]] 전 서울교정청장이 영화 속에서 지나치게 ‘의인’으로 미화되어 보이콧 하는 사례가 많다. '' | ||
+ | 이에, [[안유]] 전 청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 ||
+ | {{글상자 | ||
+ | |color=#BEE4D4 | ||
+ | |text=<font color=#457963> | ||
+ | “전 의인이 아닙니다. 대학생들은 저를 가리켜 ‘전두환의 주구, 사냥개’라고 했어요. 학생 수형자들은 제 얼굴에 짬밥을 뿌리기도 했죠.<br/> | ||
+ | 그때 학생들에게 미안한 마음이 듭니다. 당시엔 수형자들이 고성 등 문제를 일으키면 포승과 수갑을 채우고 입을 막는 방성구를 씌웠어요. | ||
+ | <br/>그게 규정이었습니다.” | ||
+ | }} | ||
− | + | <br/> | |
− | ==''' | + | ==='''여성 운동가의 부재'''<ref>[http://www.wome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28944 '1987'의 감동에 여성의 자리는 없었다] 여성신문</ref>=== |
− | + | ''여성 캐릭터 ‘연희’는 서사의 장애물, 멜로 감수성의 객체,‘운동권 오빠’에 환호하는 존재로, 배워야 하는 자리로 떠미는 남성적 민주화의 결과일 뿐이다. ''<br/> | |
+ | 연희의 대중적 호소력은 그녀가 운동에 가담하지 않은 당시 일반인을 표상하도록 설계된 것에서 나온다. 질문이 생긴다. 표상의 주인을 하필이면 여대생으로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비정치적 군중과 포개지면서 연희의 서사적 지위는 굴절된다. 그녀는 삼촌의 운동을 돕지만 그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기에 곧장 돕지는 않는다. 협조는 언제나 반 박자씩 늦다. <br/> | ||
+ | ''영화에서 가장 극적인 내면 변화는 연희의 몫이지만 이는 결과론에 지나지 않는다.'' 의외의 설정이 성장을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물론 영화는 연희의 주체적 변화를 환기하는 사연, 체험, 사유를 제법 구체적으로 배치한다. 그럼에도 그녀의 결단은 성찰적 토대로 나아가지 못하고 그저 감정적 차원에서 흩어지는 느낌이다. 무엇보다 그것은 이한열 열사와의 가상적 관계 때문이다. 의아한 것은 운동과 관련된 차별적 입장을 가진 두 대학생 사이의 대화, 토론, 논쟁에 영화가 무관심하다는 점이다. 대신 영화는 연희의 성장과 딱히 상관없는 그녀와 이한열의 극적인 만남, 풋풋한 감정, 비극적 이별을 펼치기에 바쁘다. 그 결과 훼손되는 것은 연희의 성장 자체다. 그것은 시시때때로 끼어드는 멜로 감수성에 휘둘리며 소모적인 물음표의 자리로 떠밀린다. <br/> | ||
+ | <br/> | ||
+ | <br/> | ||
+ | ==='''관련 영상'''=== | ||
+ | '''<영화 1987 고문관 안유 미화? 피해자 강용주 보이콧 선언>'''<br/>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EsGkRmlEHQ"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rml> | ||
+ | <br/> | ||
+ | '''<1987, 그곳에 여성들이 있었다>'''<br/>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PQ29FipUCI4"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br/> | ||
+ | '''<CBS 김현정의 뉴스쇼 - "1987, '여성'이 있었다"'''<br/> | ||
+ | <html> | ||
+ | <iframe width="560" height="315" src="https://www.youtube.com/embed/agWeIIbymF8" frameborder="0" allow="accelerometer; autoplay; encrypted-media; gyroscope; picture-in-picture" allowfullscreen></iframe> | ||
+ | </html> | ||
+ | <br/> | ||
=='''참고문헌'''== | =='''참고문헌'''== | ||
− | *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58191 1987] 네이버 영화 |
+ | *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95501 남영동 1985] 네이버 영화 | ||
+ | * [https://namu.wiki/w/1987(%EC%98%81%ED%99%94)/%ED%83%90%EA%B5%AC#s-3 1987(영화)/탐구]나무위키 | ||
+ | |||
=='''기여'''== | =='''기여'''== | ||
=='''주석'''== | =='''주석'''== | ||
− | |||
− | |||
− | |||
<references/> | <references/> | ||
[[분류:2019-1 디지털인문학입문(서울)]] [[분류:1987년 6월과 영화]] [[분류:영화]] [[분류:신민정]] | [[분류:2019-1 디지털인문학입문(서울)]] [[분류:1987년 6월과 영화]] [[분류:영화]] [[분류:신민정]] |
2019년 6월 26일 (수) 08:33 기준 최신판
1987 | |
작품명(국문) | 1987 |
---|---|
작품명(영문) | 1987, When the Day Comes |
제작연도 | 2017 |
국가 | 한국 |
개봉일 | 2017.12.27 |
등급 | (국내)15세 관람가 |
장르 | 드라마 |
러닝타임 | 129분 |
관객수 | 7,232,387명 |
목차
정의
1987(영화는 2017년 12월 27일에 개봉한 대한민국의 영화이다.
1987년. 고(故) 박종철 고문치사사건을 시작으로 사람들이 힘을 합해 전두환 전 대통령의 독재정치에서 벗어나려고 하는 실제 과정 및 사건 등을 다룬 내용이다.
내용
시놉시스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습니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던 스물두 살 대학생이 사망한다. |
명대사
- 박처장(김윤석)
- 조사관이 책상을 '탁'치니, '억' 하고, 어?
- 박정기(김종수)
- 왜 가지를 못하니...
- 연희(김태리)
- 그런다고 세상이 바뀌어요? 가족들 생각은 안해요?
- 가진 거 없어도 당당하게 살아! 당당하게!
- 안 와요, 그 날 같은 거.
- 박종철 삼촌(조우진)
- 경찰이 죽였습니다! 쇼크사 아니고 경찰이 죽였습니다!
- 동아일보 사회부장(고창석)
- 경찰이 고문치사로 대학생을 죽였는데 이깟 보도지침이 대수야?!
- 조반장(박휘순)
- 받들겠습니다!
- 우리가 애국잡니까?
- 최검사(하정우)
- 시신보존명령서. 시신에 손대면 죽는다.
- 엄중한 사항입니다. 원칙대로 해주십시오.
- 우리에게 남은 무기는 진실입니다. 진실을 이길 수는 없어요.
- 박종철(여진구)
- 몰라요! 살려주세요!
- 이한열(강동원)
- 호헌철폐! 독재타도!
만든 사람들
제작진
출연진
- 주연
- 조연
- 특별출연
김윤석박처장 역
하정우공안부장 역
유해진한병용 역
김태리연희 역
박희순조반장 역
이희준윤상삼 기자 역
유승목유과장 역
현봉식박계장 역
박지환황경위 역
이용직반경장 역
박지홍강경사 역
김경덕이경장 역
김의성이부영 역
최광일안계장 역
김수진연희 엄마 역
김종수박종철 아버지 역
조우진박종철 삼촌 역
임철형정보국장 역
이창훈표검사 역
서현우이검사 역
이현균오연상 역
김승훈황적준 역
박경혜정미 역
이화룡함세웅 신부 역
설경구김정남 역
강동원이한열 역
여진구박종철 역
오달수중앙일보 사회부장 역
고창석동아일보 사회부장 역
우현강본부장 역
문성근안기부장 역
정인기김승훈 신부 역
인물 관계망
예고편
- 메인 예고편
- 티저 예고편
- 케릭터 예고편
멀티미디어
- 포스터
- 스틸컷
- 관련 영상
방구석 1열 영상 - 1987 & 택시운전사
고증[1]
- 영화에서 작중 시기는 1987년 초부터 6월 항쟁 시기이지만 도중에 나오는 유재하 노래의 음반은 실제로 재판은 1987년 8월, 초판은 녹음일이 3월이므로 일러도 4월에 발매되었다.
- 강진규가 대공분실 신참자에, 물고문 도중 직접 박종철을 물속에 밀어넣은 것이 아니고 다리만 잡은 것으로 나온다. 하지만 강진규는 고참 공안형사였으며, 사후 체포된 동료는 "강진규가 박종철의 머리를 직접 물 속에 집어넣었다"고 주장했다.
- 접견기록부에 '없습니다', '보였습니다' 등으로 적혀있다. 이 당시는 '읍니다'가 맞춤법에 맞는 표기였고 '습니다'로 개정된 것은 1989년이다.
- 유해진이 연기한 한병용 교도관은, 실존 인물인 한재동 교도관과 전병용 교도관 2명의 이야기를 조합하여 나온 캐릭터이다. 당사자들이 정년퇴직 이후에 민주화 운동을 도왔다는 사실을 직접 밝히기 전까지, 이부영 등은 이 사람들에 대해 끝까지 함구해줬다. 이런 이유로 이 2명의 교도관들의 정체는 숨겨졌고, 한병용과는 다르게 고문을 당하지 않았다.
- 이부영으로부터의 편지는 한재동 교도관을 통해 전병용 교도관에게 전달되었고, 이후 김정남에게 전달되었다. 영화에서는 한재동의 역할은 연희가 나눠 가졌다.
- 실제 사건에서는 휴지에 편지를 써서 전달하였으나, 영화에서는 잡지(선데이서울) 사이에 편지를 써서 전달한 것으로 나온다.
- 극중 최환 검사는 영화 중반부터 검사직을 사임하고 변호사로 등장한다. 그러나 실제 최환 검사는 1990년대 말까지 검사 고위직으로 활동하였고, 은퇴 이후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
- 이한열이 최루탄을 맞고 쓰러질 때 이를 본 친구가 '한열아!'라고 외치며 다가와 이한열을 부축하는데, 실제로 이한열을 부축한 이종창은 이한열과 면식이 없었다.
- 이한열과 연희의 부분은 허구다. 연희는 영화에서 창작된 인물로, "당시 보통 사람들, 서민 사람의 마음으로 저항하고 싶지만 저항할 수 없었던, 바라볼 수밖에 없었던 인물이 필요"해서 만들어졌다고 한다.
논란
'안 계장' 미화 보이콧[2]
영화 속 ‘안 계장’으로 등장하는 안유 전 서울교정청장이 영화 속에서 지나치게 ‘의인’으로 미화되어 보이콧 하는 사례가 많다. 이에, 안유 전 청장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전 의인이 아닙니다. 대학생들은 저를 가리켜 ‘전두환의 주구, 사냥개’라고 했어요. 학생 수형자들은 제 얼굴에 짬밥을 뿌리기도 했죠. |
여성 운동가의 부재[3]
여성 캐릭터 ‘연희’는 서사의 장애물, 멜로 감수성의 객체,‘운동권 오빠’에 환호하는 존재로, 배워야 하는 자리로 떠미는 남성적 민주화의 결과일 뿐이다.
연희의 대중적 호소력은 그녀가 운동에 가담하지 않은 당시 일반인을 표상하도록 설계된 것에서 나온다. 질문이 생긴다. 표상의 주인을 하필이면 여대생으로 설정한 이유는 무엇인가. 비정치적 군중과 포개지면서 연희의 서사적 지위는 굴절된다. 그녀는 삼촌의 운동을 돕지만 그의 생각에 동의하지 않기에 곧장 돕지는 않는다. 협조는 언제나 반 박자씩 늦다.
영화에서 가장 극적인 내면 변화는 연희의 몫이지만 이는 결과론에 지나지 않는다. 의외의 설정이 성장을 부차적인 것으로 만들기 때문이다. 물론 영화는 연희의 주체적 변화를 환기하는 사연, 체험, 사유를 제법 구체적으로 배치한다. 그럼에도 그녀의 결단은 성찰적 토대로 나아가지 못하고 그저 감정적 차원에서 흩어지는 느낌이다. 무엇보다 그것은 이한열 열사와의 가상적 관계 때문이다. 의아한 것은 운동과 관련된 차별적 입장을 가진 두 대학생 사이의 대화, 토론, 논쟁에 영화가 무관심하다는 점이다. 대신 영화는 연희의 성장과 딱히 상관없는 그녀와 이한열의 극적인 만남, 풋풋한 감정, 비극적 이별을 펼치기에 바쁘다. 그 결과 훼손되는 것은 연희의 성장 자체다. 그것은 시시때때로 끼어드는 멜로 감수성에 휘둘리며 소모적인 물음표의 자리로 떠밀린다.
관련 영상
<영화 1987 고문관 안유 미화? 피해자 강용주 보이콧 선언>
'''<1987, 그곳에 여성들이 있었다>'''
<CBS 김현정의 뉴스쇼 - "1987, '여성'이 있었다"
참고문헌
- 1987 네이버 영화
- 남영동 1985 네이버 영화
- 1987(영화)/탐구나무위키
기여
주석
- ↑ 1987(영화)/탐구나무위키
- ↑ 강용주, 그는 왜 영화 ‘1987’을 보이콧하나 한겨레신문
- ↑ '1987'의 감동에 여성의 자리는 없었다 여성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