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5. 진무영(鎭撫營) 열무당(閱武堂)"의 두 판 사이의 차이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같은 사용자에 의한 3개의 중간 편집이 숨겨짐)
1번째 줄: 1번째 줄:
閱武堂高大將筵 열무당 드높으니 대장의 지휘소라.
+
<big>閱武堂高大將'''筵''' (<small>열무당고대장'''연'''</small>)    열무당 드높으니 대장의 지휘소라.<br />試才月月又年'''年''' (<small>시재월월우년'''년'''</small>)     달마다 해마다 재주를 시험하네.<br />兼是春秋操鍊日 (<small>겸시춘추조련일</small>)    봄과 가을 두 차례 열병 훈련 하던 날은,<br />麾下軍容萬六'''千''' (<small>휘하군용만륙'''천'''</small>)    휘하의 군사가 만육천 명이나 되었네.<br />
207) ʻ유수이태좌선정비ʼ와 ʻ경력이세성선정비ʼ가 강화 화도면 상방리 비석군에
+
</big>
있다. 이 2기의 비석은 모두 1781년에 상도면과 하도면 주민들이 힘을 모
+
 
아 세웠다고 새겨져 있다.
+
○ 진무영(鎭撫營)은 종각의 서쪽에 있으니 즉 열무당(閱武堂)이다. 숙종 갑자년(1684)에 유수 윤계(尹堦)가 짓고서 ʻ열무(閱武)ʼ라
208) 정조 재위시에는 정해년이 없다.
+
부내면(府內面) 125
+
試才月月又年年달마다 해마다 재주를 시험하네.
+
兼是春秋操鍊日봄과 가을 두 차례 열병 훈련 하던 날은,
+
麾下軍容萬六千휘하의 군사가 만육천 명이나 되었네.
+
○ 진무영(鎭撫營)은 종각의 서쪽에 있으니 즉 열무당(閱武堂)
+
. 숙종 갑자년(1684)에 유수 윤계(尹堦)209)가 짓고서 ʻ열무(閱武)ʼ라
+
 
는 편액을 걸었다. 일명 승천대(承天臺)라고도 한다.
 
는 편액을 걸었다. 일명 승천대(承天臺)라고도 한다.
○ 진무사(鎭撫使)가 무과를 시험할 때에 머무는 곳이다. 매월 활
 
쏘기를 시험하여 상을 주고, 매년 도시(都試)를 설치하여 무과를 취
 
한다. 매년 봄, 가을에 조련하고 군대를 정비하여 진무영 아래의 수
 
군들은 합해서 16,200인이었다. 지금은 모두 폐지되었다.
 
==기행지도==
 
<googlemap lat="37.649507" lon="126.524359" type= "normal"  zoom="13"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 37.747316, 126.487190, [[강화부]] 강화군 강화읍 관청리 1003-15
+
○ 진무사(鎭撫使)가 무과를 시험할 때에 머무는 곳이다. 매월 활쏘기를 시험하여 상을 주고, 매년 도시(都試)를 설치하여 무과를 취한다. 매년 봄, 가을에 조련하고 군대를 정비하여 진무영 아래의 수군들은 합해서 16,200인이었다. 지금은 모두 폐지되었다.
() 37.647308, 126.525496, [[237.굴곶포(屈串浦)]] 현 불은면 덕성리 굴이포 일명 '구리포'
+
  
 +
 +
==기행지도==
 +
<googlemap width="800" height="570" lat="37.755627" lon="126.488011" type= "normal"  zoom="14.7" icon="http://maps.google.com/mapfiles/marker.png">
 
3#000000
 
3#000000
  
  
(M)[[250.사복포(司僕浦)]] 현 불은면 덕성리
 
(N)[[251.능촌동(陵村洞)]] 현 불은면 덕성리
 
(O) 37.677455, 126.496196, [[252.능촌(陵村)]] 현 불은면 두운리 1482 능촌입구
 
(P) 37.687287, 126.501630, [[253.고잔동(高盞洞)]] 현 불은면 고능리 710-4
 
(Q) 37.688276, 126.501549, [[254.지천(芝川)]] 현 불은면 고릉리 (고잔마을 지레)
 
(R) 37.692192, 126.495413, [[255.곶내동(串內洞)]] 현 불은면 고릉리 고능로262번길(아침가리마을)
 
(S) 37.683937, 126.491910, [[256.두두미(斗頭尾)]]현 불은면 두운리 712-2(두두미마을)
 
</googlemap>
 
  
 +
(M) 37.753860, 126.478324, [[64. 명륜당(明倫堂)]] 현 향교길 강화군 강화읍 강화향교
 +
(N) 37.754014, 126.478194, [[65. 강당(講堂) 안연재(安燕齋)]] 현 강화읍 관청리 936-3
 +
(O) 37.755553, 126.482822, [[66. 북문(北門)]] 강화산성북문 강화읍 국화리 산3
 +
(P) 37.763184, 126.484513, [[67. 여제단(厲祭壇)]]?? 현 강화읍 대산리 1195
 +
(Q) 37.759656, 126.476231, [[68. 당주동(唐州洞)]] 현 강화군 송해면 당골길
  
 +
(R) 37.755592, 126.486896, [[69. 북장대(北將臺)]] 현 강화읍 대산리 북산공원
 +
(S) 37.760032, 126.486663, [[70. 북장춘목(北場春牧)]] 현 강화읍 대월로277번길,북산(송악)의북쪽 우마장,강화10경
 +
(T) 37.755495, 126.487113, [[71. 기우청단(祈雨晴壇)]] 고려산 화산 마니악 송악산 혈구산 갑곶진중 여기는 송악
 +
(U) 37.754340, 126.484252, [[72. 행궁 궁아제단(宮娥祭壇)]] 현 강화군 강화읍 북문길(부의 관아북쪽 송악산)
 +
(V) 37.755006, 126.484252, [[73. 척천정(尺天亭)]] 현 강화읍 관청리(행궁의 북쪽)
 +
(W) , [[74. 장녕전(長寧殿)]] 현
 +
(X) , [[75. 세심재(洗心齋)]] 현
 +
(Y) , [[76. 연초헌(燕超軒)]] 현
 +
(Z) 37.754223, 126.489997, [[77. 규장외각(奎章外閣)]] 현 강화읍 관청리 산32(??)(행궁의 동쪽)
 +
() 37.752387, 126.485997, [[78. 상아(上衙)]] 현 강화읍 관청리 강화유수부동헌
 +
() , [[79. 객사(客舍)]] 현
 +
() , [[80. 민풍시(民風詩)]] 현
 +
() , [[81. 도과(道科)]] 현
 +
() , [[82. 공도회(公都會)]]
 +
() , [[83. 이아(貳衙)]] 현
 +
() , [[84. 중영(中營)]] 현
 +
() 37.747652, 126.476736, [[85. 진무영(鎭撫營) 열무당(閱武堂)]] 현 연무당 옛터
 +
() 37.748305, 126.484933, [[86. 선원비각(仙源碑閣)]] 현 강화읍 동문안길21번길 13 선원김상용순절비
 +
() 37.747529, 126.483159, [[87. 시장(市場)]] 현 강화읍 신문리 1003-6(시장??)
 +
() 37.747903, 126.485195, [[88. 용흥궁(龍興宮)]] 강화읍 관청리 441
 +
() 37.746572, 126.488306, [[89. 육궁(六宮)]] 현 강화읍 관청리 148-5 (동문안쪽??)
 +
() , [[90. 부내 심부윤(沈府尹*)]] 현
 +
() , [[91. 부내 최판서(崔判書*)]] 현
 +
() , [[92. 부내 김효자(金孝子*)]] 현
 +
() , [[93. 성황단(城隍壇)]] 현
 +
() 37.751875, 126.485356, [[94. 고려궁지(高麗宮址)]] 현 강화읍 북문길 42 강화 고려궁지
 +
() 37.749639, 126.491383, [[95. 동문(東門)]] 현 강화읍 관청리 49 동문로
 +
() 37.754337, 126.473381, [[96. 강화부성(江華府城*)]] 현 강화산성 강화읍 국화리
  
 +
 +
 +
</googlemap>
  
 
==인물==
 
==인물==
*  
+
* [https://terms.naver.com/alikeMeaning.nhn?query=88008052 윤계](1622∼1692)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태승(泰升), 호는 하곡(霞谷).
 +
 
 
==참고==
 
==참고==

2019년 6월 16일 (일) 09:38 기준 최신판

閱武堂高大將 (열무당고대장)     열무당 드높으니 대장의 지휘소라.
試才月月又年 (시재월월우년) 달마다 해마다 재주를 시험하네.
兼是春秋操鍊日 (겸시춘추조련일) 봄과 가을 두 차례 열병 훈련 하던 날은,
麾下軍容萬六 (휘하군용만륙) 휘하의 군사가 만육천 명이나 되었네.

○ 진무영(鎭撫營)은 종각의 서쪽에 있으니 즉 열무당(閱武堂)이다. 숙종 갑자년(1684)에 유수 윤계(尹堦)가 짓고서 ʻ열무(閱武)ʼ라 는 편액을 걸었다. 일명 승천대(承天臺)라고도 한다.

○ 진무사(鎭撫使)가 무과를 시험할 때에 머무는 곳이다. 매월 활쏘기를 시험하여 상을 주고, 매년 도시(都試)를 설치하여 무과를 취한다. 매년 봄, 가을에 조련하고 군대를 정비하여 진무영 아래의 수군들은 합해서 16,200인이었다. 지금은 모두 폐지되었다.


기행지도

인물

  • 윤계(1622∼1692)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태승(泰升), 호는 하곡(霞谷).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