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제동맹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개관

  • 정의

신라백제고구려를 견제하기 위해 맺은 동맹.


  • 내용

역사적 배경

최초 나제동맹이 형성된 것은 낙랑군(樂浪郡)과 대방군(帶方郡)이 소멸된 뒤 삼국이 국경을 접하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4세기 초 전연(前燕)의 공격을 받아 요동(遼東)방면으로의 진출이 좌절된 고구려는 한반도 쪽으로의 팽창을 꾀하였다. 그러나 고구려의 남하는 당시 북진정책을 전개하고 있던 백제와의 정면충돌을 피할 수 없게 하였다.

한편, 내물왕(奈勿王, 356∼402)이 즉위해 강력한 정치세력을 형성하게 된 신라고구려의 간섭에서 벗어나 자주화하려는 움직임이 일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366년 백제의 근초고왕(近肖古王, 346∼375)은 신라의 내물왕에게 사신을 파견해 화호(和好)를 도모하였다.


경과 및 결과

이러한 관계를 배경으로 하여 근초고왕은 고구려에 대항하였고, 특히 371년 평양성 전투에서는 고구려의 고국원왕(故國原王, 331∼371)을 전사시키는 등의 승리를 거둘 수 있었다. 그러나 신라와 백제의 동맹관계는 내물왕 말기에 이르면서 신라가 다시 고구려에 접근하게 되는 상황변화로 인해 깨지게 되었다. 그 결과 백제는 왜(倭)·가야 등과 연합해 신라를 공격했고, 신라는 고구려에 구원을 요청하였다.

광개토왕(廣開土王, 391∼412)의 뒤를 이어 즉위한 장수왕(長壽王, 413∼492)은 427년(장수왕 15)평양으로 천도하면서 보다 적극적으로 남진정책(南進政策)을 추진하였다. 고구려 남진의 적극화는 백제뿐만 아니라 고구려의 군사적 보호 하에 있던 신라에게도 커다란 위협이었다. 백제신라 및 북위(北魏)에게 접근했는데, 북위와의 접촉은 이해관계가 맞지 않아 실패로 돌아갔지만 당시 고구려 주둔군의 내정간섭에서 벗어나려고 하고 있던 신라와의 접촉은 성공을 거두었다.

이렇게 하여 433년 백제의 비유왕(毗有王, 427∼455)과 신라의 눌지왕(訥祗王, 417∼458) 사이에 맺어진 것이 제2차 나제동맹이다. 이 동맹은 필요할 때 상호 원군을 파견하도록 한 군사적 공수동맹(攻守同盟)이었다. 백제신라의 공수동맹에도 불구하고 고구려의 남진정책은 계속되었다. 그 결과 475년에 백제고구려군의 공격을 받아 개로왕(蓋鹵王, 455∼475)이 전사하고 수도 한성(漢城)도 함락되고 말았다. 이에 문주왕(文周王, 475∼477)은 신라군의 도움을 받아 웅진(熊津: 지금의 충청남도 공주)으로 천도해 나라를 보존하였다.[1]

클래스

  • 개념

관련 문서

이 문서 관계 관련 문서
개로왕 A는 B를 결성하였다 나제동맹
장수왕 A는 B를 야기했다 나제동맹
나제동맹 A는 B가 멤버였다 백제
나제동맹 A는 B가 멤버였다 신라

아차산과의 연관성

나제동맹을 결성한 개로왕이 전사한 곳이 아차산성일 것이라는 추측이 있다.

기여

출처

  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