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발이승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Meta Data

  • 타입 : 철학 개념
  • 한글항목명 : 기발이승
  • 한자항목명 : 氣發理乘
  • 편자 : 자운서원팀 김소희

내용

조선 성리학에 있어서 본체론(本體論)과 심성론(心性論)에 관한 이론. 이황(李滉)의 “사단(四端)은 즉 이가 발함에 기가 이것을 따르며, 칠정(七情)은 즉 기가 발함에 이가 이것을 탄다”(四則理發而氣隨之 七則氣發而理乘之)라는 설명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황은 사단(四端)은 순수선(純粹善)으로서 이(理)에 속하고, 칠정(七情)은 선악(善惡)을 겸한 것으로 기(氣)에 속한다고 보았다. 그리하여 사단(四端)을 이(理)를 주(主)로 해서 말하여 이(理)가 발(發)하는 것으로 보았고, 칠정(七情)은 기(氣)를 주로 해서 말하여 기(氣)가 발(發)하는 것으로 보았다.

여기에 반해 이이(李珥)는 사단(四端)과 칠정(七情)은 모두 기(氣)가 발하고 이(理)가 이것을 타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 흔히 기발이승(氣發理乘)이라고 말할 때는, 이이의 이른바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가리킨다. 이이는 칠정(七情)이 사단(四端)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칠정(七情)은 물론 사단(四端)도 역시 기(氣)가 발(發)하는 것이라 설명했다. 그가 사단(四端)도 기발(氣發)이라고 주장하는 근거는 천도(天道)에 입각하여 인도(人道)를 직관(直觀)하려는 데 있다.

천지(天地)는 한 이기(理氣)이므로 사람 역시 천지간(天地間)의 이기(理氣)로 이루어진 것이고, 천지(天地)는 유심무심(有心無心)을 막론하고 전체적으로 볼 때 '실리'(實理)가 있을 뿐이고 이 '실리'가 사람에게 있어서는 '실심'(實心)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이 '실리'는 천지간(天地間) 모든 기(氣)의 근저이므로 천지의 조화는 '기발이승'(氣發理乘)하는 것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사람의 '실심'의 발용(發用) 역시 천지조화의 원리와 서로 같은 까닭에 사단(四端)이나 칠정(七情) 모두 '기발이승'이라는 것이다.

또한 이이는 사단(四端)도 정(情)이고 칠정(七情)도 정(情)으로 보았다. 다만 사단(四端)은 순수선성(純粹善性)으로서 기(氣)가 맑으면 이(理)가 발현된다는 기청이현(氣淸理顯)의 이론을 전개시켰다. 곧 사단(四端)을 밝은 기(氣)가 발현된 상태로 본 것이다. 이후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은 이황의 '이발기발설이기호발설'과 더불어 조선성리학사에 있어서 주리(主理)ㆍ주기(主氣) 논쟁의 시발점을 이루었다.


웹 자원

네이버 지식백과 철학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