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DH 교육용 위키
이동: 둘러보기, 검색

Peter Lee Preface 鄕札과 吏讀 (hyangch’al vs Idu) 1. 국어의 어순 이두문은 한문의 어순과 국어의 어순이 섞이어 쓰이는 것이 주종을 이루지만, 향찰은 인용구나 특별한 표현적 효과를 위한 경우를 제하고는 한문의 어순은 쓰이지 않는다.

2. 조사와 어미 표기의 정밀성 또, 이두문은 투식(套式)이 많고 한문식 표현에 의지하는 바가 커서 조사나 어미가 소홀하게 표기되는 수가 많으나, 향찰은 조사나 어미의 표기가 정밀하여 자연스러운 국어문장을 표기하고 있다.

3. 발달 순서 향찰은 차자표기법 가운데 가장 발달한 표기법이다. 관명과 같은 고유명사나 단편적인 단어의 표기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여 이두―구결―향찰의 순서로 발달된 것으로 추정된다.

4. ≪삼국유사≫의 향가를 중심으로 표기법상의 특징들을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① 개념부(槪念部)의 표기 :

  ㉮ 음독자(音讀字) 표기-太平, 善化公主, 薯童房, 四十八大願. 
  ㉯ 훈독자(訓讀字) 표기-春/봄, 母牛/암쇼, 浮去隱/간, 憂音/시름, 岩乎·바회. 
  ㉰ 가자(假字) 표기-毛冬/모, 於冬是/어드리, 於內/어느, 達阿羅/아라, 阿孩/아, 巴寶白乎隱/보보온, 阿邪也/아야여.

② 토의 표기 :

 ㉮ 말음첨기(末音添記)―憂音/시름, 夜音/밤, 雲音/구룸, 道尸/길, 慕理尸/그릴, 心末/, 有叱/잇, 岩乎/바회, 折叱可/것거, 前乃/져나.
 ㉯ 조사(助詞)의 표기-
    ㉠ 주격조사-雪是/눈이, 脚烏伊/가로리. 
    ㉡ 속격조사-耆郎矣皃史/耆郎 즈시, 蓬次叱巷中/다봊ㅅ굴헝. 
    ㉢ 대격조사-房乙/방, 吾肸/나, 花肸/고.
    ㉣ 처격조사-巷中/굴헝, 邊希/, 此矣彼矣/이뎌, 尊衣希/尊, 月良/아, 前良中/前아, 汀里也中/나리야(믈서리야).
    ㉤ 조격조사-筆留/부드로(균여전). 
    ㉥ 호격조사-郎也/郎이여, 彗星也/慧星이여, 花良/곶아, 矣徒良/의아. 
    ㉦ 주제격조사-二肸隱/두블흔, 汝隱/너는, 君隱/君은, 民焉/民.
 ㉰ 어미의 표기-
    ㉠ 종결어미- ⑴설명형 종결어미-知古如/알고다, 獻乎理音如/바도림다, 置內乎多/두오다, 四是良羅/넷이어라, 行齊/녀져. ⑵ 의문형 종결어미-何如爲理古/엇다리고, 去賜里遣/가시리고, 成遣賜去/일고실가. ⑶ 명령형 종결어미-陪立羅良/뫼셔라아.
    ㉡ 연결어미-放敎遣/놓이시고, 捨遣只/리곡, 嫁良置古/얼어두고, 見昆/보곤, 古召0xF445/고조며, 使以惡只/브리악, 吾下是如馬於隱/내해다마.
    ㉢ 전성어미- 
       ⑴명사형 전성어미-岳音見賜烏尸聞古/오롬 보시올 듣고, 白屋尸置內乎多/올 두오다, 浮去隱·安支下/간 안디하, 明期月良/긔아.
       ⑵관형형 전성어미-去隱春/간 봄, 直等隱心音矣/고 , 行尸浪阿叱/녈 믌겨랏, 行乎尸道尸/녀올 길, 宿尸 夜音/잘 밤.
       ⑶부사형 전성어미-白良/아, 唱良/블어, 入良沙/들어사, 遣也 置古/기텨 두고. 이 밖에 존칭보조어간의 표기에는 ‘賜/(시)’와 ‘敎/이시’가 쓰였다. 겸양보조어간에는 ‘白/’이 쓰였다. →이두, 차자표기법
<한국민족문화대백과>


I. Education and Examination (p. 1) literary Chinese 文言(文) (200 BC - pre-Tang 618) Cf. classical Chinese 漢文

oral 口碑, 口傳文學 the vernacular (通)俗文學 - language register 言域 Cf. popular 大衆文學 vs. elite

조선의 과거제도 civil service examination / state examination (1) 生員 classics licentiate → 明經科 Classics Licentiate Examination / classics examination (2) 進士 literary licentiate → 製述科 Literary Licentiate Examination / literary examination Cf. Which is more valuable? literary composition examination was considered more prestigious Why? They needed good writers for kings and diplomacy

p. 2. 시험과목: (1) 生員: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禮記, 春秋)

  The classics examination tested students in the Four Books and Five Classics
  Cf. China? 13 classics
  易經, 書經(尙書), 詩經(毛詩), 論語, 孟子, 禮記, 周禮, 儀禮, 孝經, 春秋左氏傳, 春秋公羊傳, 春秋穀梁傳, 爾雅 

(2) 進士: poetry 詩, rhymeprose (rhapsody) 賦, eulogy 頌, admonition 箴, treatise 論, memorial 表/疏, edict 詔/箋, a problem essay 策

p. 3. 합격자 passers: (1) white certificate 白牌 for all successful graduates (2) red certificate 紅牌: The three highest-ranking graduates received a certificate in red paper with the royal 壯元 榜眼 探花


II. The Writer (p. 3) 천자문 cf. what else? Breaking the Fool's Hold, Elementary Learning Miyazaki Ichisada 宮崎 市定 고려/조선 시대: 10대 합격자 분포 As the examination was formalized, it became more competitive, so that those teen passers were getting decreased. 栗谷 (九度壯元公) From early in life he learned that the arts of statesmanship and literature went hand in hand.

III. The Hierarchy of Genres (p. 5) Sinographic civilization 漢字文化圈 Cf. Sinophone area 中華圈 : Chinese-speaking area Sinoxenic area 域外漢字 한국: 이두 언문(common script) 한문 일본: kana 假名 / mana (眞名 베트남: 쯔놈 chữ Nôm 字喃 (남쪽 글자) 큰 것부터 작은 것으로 (글자긴 글자인데 남쪽 글자) 1. The hegemony of the Confucian canon in East Asian culture and literature was long and strong. From their inception, the Confucian classics were treated as canonical by the literati.(p. 6) The tradition provided rhetorical commonplaces, inspired the "mirror for princes龜鑑" (p. 6) To maintain the order considered vital to the preservation of society, they used ideology to veil repression. Gramsci's notion of ideological hegemony as a totality might apply here. (p. 8) 2. The Wenxuan 文選 (Selections of Refined Literature) exercised a lasting influence in the formation of the canon. (p. 7) (1) Poetry was paramount in the generic hierarchy(p. 7). Of the sixty chapters, the first 35 are assigned to poetry. ex) individual collections 文集 (2) Three secondary genres in Korea include prose fiction 小說, random jottings 雜記, and drama.

   ⓵ The East Asian term was used derogatively to designate all traditional prose fiction which created a world other than that sanctioned by the establishment and which offered alternative views of reality. 
   ⓶ The literary miscellany, or random jottings 雜記 is an anti-genre that flaunts誇張 the prescriptive conventions of the formal prose genres, with their stilted rhetoric. Studied nonchalance and self-disparagement found expression in the title, which usually contains the East Asian equivalent of the Latin sylvae.詩文集(喬木林) (p. 7)

IV. The Task of a New Literary History (p. 9) The historian's task is to evaluate not only native (and popular) works neglected in the past but also to examine works in Chinese once considered canonical but now neglected. (p. 10) Modern literary historians deploy an array of strategies to resurrect and reevaluate neglected areas in a traditional canon: a reevaluation of dissent literature. (p. 10) The mask play is usually performed on a makeshift stage in open air in the village square on festive occasions. The targets of exaggerated humor and satire in both are the literati and Buddhist monks. Bakhtin's notion of the "dialogic" as a "carnivalesque dispersal of the hegemonic order of a dominant culture might be relevant here (The Dialogic Imagination) (p. 11)

Bakhtin contrasts the dialogic and the "monologic" work of literature. The dialogic work carries on a continual dialogue with other works of literature and other authors. It does not merely answer, correct, silence, or extend a previous work, but informs and is continually informed by the previous work. Dialogic literature is in communication with multiple works.

異語性 Heteroglosia “The novel can be defined as a diversity of individual voices, artistically organized. The internal stratification of any single national language into social dialects, characteristic group behavior, professional jargons, generic languages, languages of generations and age groups, tendentious languages, languages of the authorities of various circles and of passing fashions, languages that serve the specific sociopolitical purpose of the day, even of the hour (each day has its own slogan, its own vocabulary, its own emphasis)-this internal stratification present in every language at any given moment of its historical existence is the indispensable prerequisite for the novel as a genre.” 12 1894년

We need both traditional commentary and Western critical methodology and only those who have both can do justice to traditional Korean literature. (p. 14) Chapter 1. Language, forms, prosody, and themes

I. The Korean Language 1. Genetic Affiliation (p. 15) (1) The grammatical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are conspicuous.

   ⓵ Both are typical subject-object-verb (SOV) word-order languages. 
   ⓶ All predicates (verbs and adjectives) come at the end of a sentence or a clause;
   ⓷ all modifiers precede their modified elements;
   ⓸ and all particles follow their associated nominals as postpositions. 
   ⓹ Both languages allow situationally understood elements to omitted in speech. 
   ⓺ Both are pitch-accent languages (慶尙, 咸鏡)
   ⓻ Intricate human relationships are encoded in the linguistic structure in terms of referent honorifics and speech levels. (p. 16)

(2) The Altaic hypothesis assigns Korean and Japanese to the Altaic family, which is composed mainly of Turkic, Mongolian, and Manchu-Tungus groups that range widely in the regions west and north of China. (p. 16) (3) The Dravidian hypothesis: M.E. Clippinger proposes a Korean-Dravidian connection by presenting 408 putative cognates. He further points out various grammatical similarities between Korean and Dravidian, including the SOV word-order. (p. 17) https://en.wikipedia.org/wiki/Dravido-Korean_languages

2. Historical Development (p. 17) (1) The period of Old Korean was the initial stage of the influx of sinograph words. (p. 17) (2) In the sixth century, the titles of the kings were changed from pure Korean to Sino-Korean forms using the term wang (king) 22代 智證王(503년) (3)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native places-names were altered and modeled after the Chinese tradition so that they consisted of two Chinese graphs as they do now. 35代 景德王 漢化政策 (757년) (4) The Middle Korean period may be characterized by the influx of a huge number of Chinese words into the Korean vocabulary. Starting with the Koryŏ dynasty, Chinese words began to pervade the spoken language, as well as being used exclusively in writing. (p. 18) (5) Modern Korean (17-19th): Modern Korean underwent further changes - probably expedited by the social and political disorder in the wake of the seven-year Japanese invasion that started in 1592, the popularization of vernacular literature, contact with foreign languages, and the importation of Western civilization. (6) Contemporary Korean (20th) has undergone a complex history: the entry of missionaries, the collision between foreign powers in Korea, Japanese domination, division, international contacts, economic growth, and so on.

  Thousands of newly coined words in North Korea and loanwords from English in South Korea

3. Dialectal Variations (p. 18) (1) The Korean peninsula may be divided into seven dialectal zones (2) The major cause has been geographic: the Cheju dialect, Kyŏngsang and Chŏlla (3) Historically, Kyŏngsang under the Silla kingdom and Chŏlla under Paekche.

   The demarcation between the Hamgyŏng dialect and the Central dialect.
    The area between 咸鏡道 淸平 and 中部 永興 was the site of constant battling between the Jurchens and the Koreans. After the Manchu tribes were driven north, 平安 province was inhabited by people from 黃海道 and 咸鏡 was settled by people from 慶尙道. (p. 19)

4. Linguistic Divergence in South and North (p. 19) (1) Linguistic divergence分化 since 1945 has been accelerated by three interrelated factors:

   ⓵ physical insulation
   ⓶ polarized political, ideological, and social distinctions
   ⓷ the different language policies (平壤-based Cultured Language 文化語 vs. Seoul-based Standard Language 標準語)

(2) Many words manifest phonological differences (p. 20): the word-initial r in Sino-Korean words. 리론 vs. 이론 (3) Spelling disparities: 달갈 vs. 달걀 / epenthetic(inserted) 사이시옷: 내가 vs. 냇가 / horizontal vs. vertical writing (4) Divergence is great in the lexicon: a language purification movement vs. Sino-Japanese words, English-based loanwords (5) Meanings and styles of words are neutral vs. metaphorical connotations orienting the people toward socialism: 인민 vs. 국민 (p. 21)

5. Korean Vocabulary (p. 22) (1) A rich vocabulary (450,000 lexical items): 35% native, 60% Sino-Korean, and 5% loan elements (2) native words 固有語 include the vocabulary essential to the maintenance of basic human life: 모(rice seedling), 벼/나락(rice plant, unhusked rice), 쌀(husked rice), 싸라기(broken bits of husked rice), 밥(cooked rice), 뉘(unhusked rice in husked rice), 올벼(early ripening rice plant or its unhusked rice), 입쌀(white husked rice), 찹쌀(glutinous husked rice), mepssal(nonglutious husked rice). (p. 22) (3) When were Chinese words and Chinese graphs first introduced into Korea? The only deduction is that they must have been used in Korea as early as the first century BC, when Han China established its four commandaeries there. (p. 23) (4) As for the origin of Sino-Korean sounds, it is assumed that the pronunciation of Chinese graphs used in the northern part of China during the Sui and Tang dynasties. (p. 24) (5) There are three layers of Sino-Korean words:

  ⓵ Sino-Korean words from literary Chinese such as 自然 (nature), 天地 (heaven and earth)
                         from spoken Chinese such as 배추 (Chinese cabbage 白菜), 먹 (inkstone 墨)
  ⓶                     from Sino-Japanese such as 殘高 (deposit balance), 電線 (electricity cord)
  ⓷                     coined in Korea such as 田畓 (paddies and dry fields), 總角 (bachelor), 酒煎子(tea-kettle)

(6) These non-Sino-Korean loanwords are called 外來語 (words from abroad): allibai, heading (p. 25) (7) One effect is the proliferation of synonymous expressions. 昇降機(elevator), 戰車(tank) (p. 25) (8) Many native words have been lost in the battle with Sino-Korean and loanwords. 山(뫼), 親戚(아암), 百(온), 千(즈믄) (9) While Chinese graphs in Japanese are read in both Sino-Japanese pronunciation and the pronunciation of corresponding native words, thereby contributing to the maintenance of the latter, Chinese graphs in Korea are read only in Sino-Korean pronunciation, contributing to the atrophy of native words. (p. 26)

6. The Korean Alphabet: 한글 (p. 26) (1) The idu(clerk reading) script was used to record Korean expressions

   by means of Chinese graphs borrowed in their Chinese meaning but read as the corresponding Korean sounds (glossograms 訓讀字) 한자의 원래의 의미를 살려 새김을 차용한 한자

or by means of Chinese graphs borrowed in their Chinese sounds only (phonograms 音假字).

   한자의 원래의 의미를 버리고 음의 발음만 빌려서 표음문자로 사용한 한자

① 음독자(音讀字):告目/고목, 根脚/근각, 衿記/깃긔, 卜數/짐수. ② 훈독자(訓讀字):進賜/나리, 流音/흘림, 所/바, 事/일, 矣身/의몸, 望良/라. ③ 음가자(音假字):題音/뎨김, 召史/조, 役只/격기, 矣身/의몸, 亦/이, 乙/(으)ㄹ, 果/과, 段/단. ④ 훈가자(訓假字):是/이, 良中/아, 以/(으)로, 爲如/다, 爲去等/거든, 茂火/더브러.

음가자:賜/, 乎/온, 那/나, 只/기, 弥/며, 哉/. 훈독자:爲/, 令/시기(기?), 在/겨, 等/ㅎ, 者/(으)ㄴ, 以/로, 中/긔, 之/―다. 훈가자:如/다, 厼/곰.

독자讀字는 한자를 원래의 의미를 살려 음이나 새김을 차용한 것이고, 가자假字는 한자 원래의 의미를 버리고 음이나 새김의 발음만 빌려서 표음문자로 사용한 것이다. a. Glossograms: 明 pɔl ‘bright’ 月 tɔl ‘moon’ 夜 pam ‘night’ 爲 hɔ ‘do’ 是 i ‘be’ 以 lo ‘with’ b. Phonograms: 阿 a 伊 i 加 ka 古 ko 仇 kwu 只 ki 奈 na 奴 no 多 ta 知 ti 羅 la 馬 ma 未 mi 時 si 也 ya 音 m 隱 n 邑 p 乙 l. Thus, in 明期月 pɔl-kuy-tɔl ‘bright moon’, the first and third characters are glossograms, while the second character, a suffix in Korean, is a phonogram.

(2) Because this writing was inadequate as a means of written communication, the hyangch'al system was invented to transcribe entire sentences into Chinese graphs for sound and sense.

(3) The orthographic design of 한글 - based on a rigorous analysis of Korean and Sino-Korean sound - was completed in 1443. 28 letters (17 consonants and 11 vowels) (4) To test the new writing system, the king ordered the composition of 龍飛御天歌 (Songs of Flying Dragons, 1445-1447). (p. 27) (5) King Sejong promulgated 한글 on 9 October 1446 under the name 訓民正音 (Correct Sounds for Teaching the People). (6) The group of scholar-officials led by 崔萬理: their argument was that Korea had long emulated Chinese ideas and institutions and that adoption of Korea's own writing system would make it impossible to identify Korean civilization with that of China but instead would identify Korea with barbarians such as Mongols, Tanguts 羌族, Jurchens, Japanese, and Tibetans who had their own scripts. (7) Kabo Reform of 1894: King Kojong's decree stipulated that all regulations and royal decrees be written in the alphabet.

7. Speech Sounds (p. 30) (1) The Korean consonants, which correspond to 19 한글 letters, are ......

   Korean has 8 vowels, 2 semivowels (w, y), and a number of diphthongs 二重母音.

(2) Vowel length (:) - 말(horse) vs 말:(language) (3) a difference between written and spoken syllables 값 vs 갑 (4) Sound symbolism 音聲象徵 (mimesis 擬態語; mimetic word):

   bright (陽) vowels 아, 애 tend to connote brightness, sharpness, lightness, and quickness
   whereas dark (陰) vowels 어, 으 indicate darkness, heaviness, dullness, and thickness

(5) a plain consonant, an aspirated consonant 거센소리, a tensed consonant 된소리

8. Word Structure (p. 31) (1) Korean is typical agglutinative language in that one or more affixes may be attached to various stems. (2) Many words are formed by compounding two or more noun roots or predicate stems. 안녕하세요 (3) Numerous words are formed through derivational affixation (prefixing and suffixing). 맨발

9. Sentence Structure (p. 32) (1) Predicate-final language 敍述語 終結型 言語 (p. 32)

   The predicate comes at the end of a sentence or a clause. 
   All other elements (the subject and object) must appear before the predicate. 

(2) All modifiers must precede the element they modify. (p. 33) (3) Particles are postpositional, occurring after a nominal and are responsible for various grammatical and semantic functions. (p. 33) (4) Korean is called a situational-oriented or discourse-oriented language in that contextually or situationally understood elements 暗黙的(省略)成分 (5) Korean is a "macro-to-micro" language in that the universe is represented in the order of a set (macro) and then its members (micro). : the family name, an address (6) Verbs and adjectives cannot function without an ending: the dummy suffix 形式 接尾辭 (7) There are four major sentence types characterized by sentence endings: declarative (statement), interrogative (question), propositive (proposal), and imperative (command). (8) These four types are interwoven with six speech levels. (plain 平對語 해라체, intimate 親對語 해체, familiar 下對語 하게체, blunt 格式語 하오체, polite 恭待語 해요체, deferential 尊對語 합쇼체)

10. Linguistic Courtesy (p. 34) (1) Language has two important tasks: transmitting information (transactional function)

  and maintaining human relationships (interactional function) - Linguistic Courtesy.

(2) There are two types of linguistic courtesy, normative and strategic. (p. 35)

   The function of normative politeness is social indexing; 
   that of strategic politeness is saving face. 

(3) Korean has an elaborate honorific system.

   ⓵ Speech levels: Korean has six speech levels. 
      plain 平對語 해라체 (any speaker to any child), 
      intimate 親對語 해체 (an adult to an adult junior), 
      familiar 下對語 하게체 (a male adult to an adult inferior), 
      blunt 格式語 하오체 (a boss to his subordinates), 
      polite 恭待語 해요체 (the most popular level, both males and females), 
      deferential 尊對語 합쇼체 (in the formal situations such as news reports and public lectures)
   ⓶ Personal pronouns 인칭대명사 (p. 36)
   ⓷ Address-reference terms 呼稱, 指稱語 (p. 37)
   ⓸ Content words and particles
   ⓹ Subject-and addressee-honorific suffixes (p. 38)
   ⓺ Strategic politeness (p. 38)


II. Forms, Prosody, and Themes (p. 39)

이두 [ 吏讀 ] 목차 정의 개설 성립과 특징 창제자 용례 1. 명사 2. 대명사 3. 조사 4. 동사 5. 어미 6. 부사역사와 자료 정의: 한자의 음과 훈(訓:새김)을 빌려 우리말을 표기하던 차자표기법(借字表記法)의 하나.

개설 『제왕운기(帝王韻記)』에서는 ‘이서(吏書)’라 하였고, 『대명률직해(大明律直解)』에서는 ‘이도(吏道)’, 『훈민정음』의 정인지(鄭麟趾) 서문과 『세종실록』에서는 ‘이두’라 불렀으며, 그 뒤에도 문헌에 따라 ‘이도(吏刀, 선조실록)’, ‘이두(吏頭, 儒胥必知)’, ‘이토(吏吐, 儒胥必知)’, ‘이찰(吏札, 東國輿地勝覽)’, ‘이문(吏文, 典律通補)’ 등의 명칭이 쓰였다. 이 가운데 가장 널리 쓰여온 것이 현재 우리가 쓰고 있는 ‘이두(吏讀)’인데, 이 말은 글자만이 다를 뿐 吏道·吏刀·吏頭·吏吐와 같은 말이다. ‘이(吏)’는 ‘서리(胥吏)’의 吏와 같은 뜻임이 분명하지만, ‘讀·道·刀·頭·吐’는 국어의 어떤 말을 글자만 달리해서 표기한 것이라는 사실만이 분명할 뿐이고, 그 어원은 분명하지 않다. 대체로 구결(口訣)의 토(吐)와 같은 어원으로 ‘구두(句讀)’의 ‘두(讀)’가 변한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보면, 이두는 서리들이 쓰는 이두문(吏讀文)의 토라는 뜻이 된다. 실제로는 조사와 어미를 나타내는 토가 중심이 되지만, 그 밖에도 체언·용언·부사들도 있으므로 이두문에 쓰이는 우리말의 보조어라고 할 수 있다. 이두를 이두문에 쓰이는 국어의 보조어라고 하면 이것은 협의의 이두개념이다. 한편, 조선 초기에서부터 차자표기 일체를 가리켜 이두라고 하여 왔다. 당시에는 이두와 구결(토)을 제하고는 차자표기를 가리키는 명칭이 세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20세기 초의 학자들은 향가(鄕歌)를 표기한 표기법도 이두라고 하여, 향가를 ‘이두문학’이라고 하기도 하였다. 이 개념이 학자에 따라서는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어서 광의(廣意)의 이두라고 불린다. 그러나 『균여전(均如傳)』에서 향가와 같은 완전한 우리말의 문장을 향찰(鄕札)이라 불렀던 사실이 밝혀지면서 향찰과 이두를 구별하여 사용하게 되었다. 향찰과 이두는 문체·용도·표기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는 것이다. 광의의 이두에 포함되는 것은 향찰 이외에도 구결이 있으나 이 역시 협의의 이두와는 구별된다. 이두가 쓰인 글은 한문의 개조가 있는 데 반하여, 구결은 한문을 그대로 두고 한문의 독해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토만 단 것이다.

성립과 특징 이두 계통의 명칭으로 가장 오래 된 것은 『제왕운기』 중의 이서(吏書)이다. 이 명칭은 사회적으로 서리 계층이 형성되면서 생겨났을 것이므로 통일신라시대나 그 이전에는 없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신라시대의 차자표기 일체를 향찰이라 하고, 이두는 고려시대 이후에야 성립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그러나 자료상으로 보면 이두문체는 이미 삼국시대에 발달하기 시작하여 통일신라시대에는 성립되어 19세기 말까지 계승되어 온 것이고, 향찰은 통일신라시대에 발달되어 사용되어 온 것이므로 향찰과 이두를 시대에 따라 구분하는 것은 사실과 맞지 않는다. 이두문은 한문의 문법과 국어의 문법이 혼합된 문체로서 때로는 한문문법이 좀더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고, 때로는 국어문법이 강하게 나타나기도 하여 그 정도가 일정하지 않다. 이두문체의 이러한 특성은 그것이 기원적으로 문서체(文書體)에서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이두문은 경기체가(景幾體歌)와 같은 악장(樂章)이나 시조, 또는 소설에서도 사용된 예가 있기는 하나 본격적인 문예문(文藝文)의 문체로까지는 발달하지 못하였다. 경기체가의 이두문은 문예문의 문체로 사용된 것이기는 하지만 그 예술적 가치가 높은 것이 못 되었고, 그 생명 또한 길지 못하였다. 근대에 와서 시조나 소설에 사용된 이두는 하정상달(下情上達)을 목적으로 하는 이두문의 특수한 표현효과를 일시적으로 이용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독자적인 문예문으로 성립된 데에서 나온 것이 아니다. 이두는 또 시대에 따라 그 표기법이 발달하기는 하였으나 문어로서의 보수성이 강하여 후대로 올수록 현실언어와 거리가 멀어져 갔다. 여기에다 조사나 어미의 표기도 한문문맥에 의지하는 바가 커서 생략되는 경우가 많았다.

창제자 이두는 설총(薛聰)이 만든 것이라는 기록이 일찍부터 있어 왔다. 이 견해는 『제왕운기』 이래 『대명률직해』 등의 여러 서적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제왕운기』 보다 앞서는 시기의 기록에서는 설총이 이두를 지었다는 사실을 직접적으로 말하고 있지 않았다. 실상 이두라는 차자표기법을 어느 한 개인이 창작하였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따라서, 설총은 처음으로 이두를 지었다고 하기보다는 그때까지 발달되어 온 차자표기법을 정리하여 경서를 우리말로 주해하고 새긴 것으로 보인다. 그가 경전을 새긴 방법이 어떤 것이었는지 분명하지 않지만, 아마도 『구역인왕경(舊譯仁王經)』의 구결과 같이 한문에 토를 달아 우리말로 새기는 석독구결(釋讀口訣)의 형태였을 것이다. 이것으로 후생들을 훈도(訓導)하였으므로 자연히 그 표기법이 널리 보급되어 설총이 이두를 지었다는 설로 발전하였을 것으로 믿어진다. 현재까지 전하여 오는 자료들을 보면, 이두문에서 진정한 의미의 토의 사용은 설총 이후의 자료에서야 비로소 발견된다. 이러한 사실들로 보면, 이두를 설총 개인의 창작이라고 하기는 어려워도 그가 정리한 표기법이 이두 내지 차자표기법 전반의 발달에 중요한 공헌을 한 것으로 보인다.

용례 이두를 정리한 문헌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것은 이의봉(李義鳳)의 『고금석림(古今釋林)』에 실린 나려이두(羅麗吏讀), 구윤명(具允明)의 『전율통보』, 이규경(李圭景)의 『오주연문장전산고』의 어록변증설(語錄辯證說), 저자를 알 수 없는 『이문(吏文)』·『이문대사(吏文大師)』·『이문잡례(吏文襍例)』 등이다. 이들은 17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이루어진 것인데, 이두에 한글로 독음을 달아놓아서 이두의 독법을 알 수 있게 해 준다. 그러나 기록 당시의 현실언어가 아니고 투식(套式)으로 오랜 동안 써오는 동안에 와전(訛傳)된 독법도 기록한 것이므로 그 올바른 독법을 재구하는 데에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이두를 기능별로 분류하고 추정된 독법과 간단한 뜻풀이를 덧붙여 일부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명사 進賜/나리:나으리. 件記/긔:물건의 이름을 열거한 목록. 告目/고목:상사람이 양반에게 올리는 글. 衿記/깃긔:분배재산의 목록. 조세액(租稅額)을 써놓은 장부. 根脚/근각:신분조사서(사람의 출생지, 생년월일과 부모의 이름을 써놓은 것). 題音/뎨김:소장이나 청원서에 내리는 관청의 판결문이나 지령문. 流音/흘림:조세를 징수할 때 서리가 대장에서 베껴낸 초안. 卜數/짐수:백성들이 부담한 수량. 召史/조:양민의 안해. 役只/격기:손님치르기.

2. 대명사 吾/나:1인칭. 汝/너:2인칭. 矣身/의몸:제 자신(自身) 他矣/남의, 져의:남의, 저 사람의.

3. 조사 주격:亦/이, 是/이, 敎是/이시(존칭). 속격:矣/의(유정물 체언), 叱/ㅅ(무정물 체언). 대격:乙/을. 처격:良中/아, 中/희. 여격:亦中/여희. 조격:以/(으)로. 공동격:果/과, 와. 특수조사:隱/은, 式/식, 乃/이나, 乙用良/을아, 佳叱/갓(뿐), 沙/사 (야), 乙良/란(랑은), 耳亦/○녀(뿐인가).

4. 동사 望良/브라-, 使內/리-, 進叱/낫드러, 當爲/당여, 依良/라, 除良/더러, 知遣/알고, 退是·退伊/믈리(연기하여), 無去乙/업거늘, 別爲/별(특별한).

5. 어미 관형형:爲在/견(한), 爲乎/온(한), 爲臥乎/누온(하는). 부사형:爲良/야, 餘良/남아, 爲遺/고. 연결:爲乎矣/오(하되), 爲昆/곤, 爲去沙/거(고야), 敎矣/이샤(하시되), 爲白乎味/온맛(하온 뜻), 爲白如乎/다온(하였사옵거니와), 爲白良結/아져(하옵고자), 爲白良你/아금(하와), 爲有如可/잇다가(하였다가), 爲只爲/기암(하기 위하여), 爲去等/거든, 爲去乃/거나. 종결:爲齊/졔, 爲如/다, 是亦在/이여견(이었음), 爲白乎乙去/올가.

6. 부사 强亦/구틔여, 無亦/업스여(없이), 茂火/더브러, 粗也/아야라(겨우), 適音/마(마침). 이상의 이두들을 표기한 글자들을 차자체계(借字體系)에서 보면 다음과 같다. ① 음독자(音讀字):告目/고목, 根脚/근각, 衿記/깃긔, 卜數/짐수. ② 훈독자(訓讀字):進賜/나리, 流音/흘림, 所/바, 事/일, 矣身/의몸, 望良/라. ③ 음가자(音假字):題音/뎨김, 召史/조, 役只/격기, 矣身/의몸, 亦/이, 乙/(으)ㄹ, 果/과, 段/단. ④ 훈가자(訓假字):是/이, 良中/아, 以/(으)로, 爲如/다, 爲去等/거든, 茂火/더브러.

독자讀字는 한자를 원래의 의미를 살려 음이나 새김을 차용한 것이고, 가자假字는 한자 원래의 의미를 버리고 음이나 새김의 발음만 빌려서 표음문자로 사용한 것이다.

역사와 자료 이두 또는 이두문의 초기 형태는 삼국시대의 자료에서 발견된다. 고구려의 자료로는 4종의 고구려 성벽석각명(高句麗城壁石刻銘)이 있다. 병술명(丙戌銘)의 석각 하나와 기축명(己丑銘)의 석각이 둘, 그리고 연기(年記)가 없는 석각이 하나 알려져 있다. 정확한 기록연대는 알 수 없으나 김정희(金正喜)는 장수왕대(長壽王代)로 추정하였으므로, 이에 따르면 병술명석각은 446년, 기축명석각은 449년에 해당된다. 병술명석각은 다음과 같다. “丙戌十二月中 漢城下 後部 小兄 文達節 自此西北行涉之[병술 12월 중에 한성(평양)의 후부 소형 문달이 지휘하였다. 여기서부터 서북 쪽으로 걸쳤다(걸쳐 축성하였다)].” 이 문체는 자연스러운 한문도 못되고 그렇다고 우리말의 문체도 아니다. 곧, 한문 문체에 우리말의 요소가 가미된 속한문(俗漢文) 또는 변체한문(變體漢文)이라고 불리는 이두문체의 초기적인 형태이다. 이 가운데 ‘中’자는 정확한 날짜를 표시하지 않고 어느 기간을 나타내는 것인데 한문에서는 오히려 없는 편이 자연스러운 것이다. 후대의 이두에서는 ‘긔, 희’로 읽혀 처격조사의 표기로 쓰인 것이니, 이러한 국어적인 표현법이 ‘中’의 용법에 작용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節’도 후대의 이두에서 ‘디위’로 읽히고 ‘때에’의 뜻으로 쓰인 것이다. ‘之’자도 역시 한문의 용법으로서는 부자연스럽고 국어의 설명형 종결어미 ‘-다’의 영향을 받아 쓰인 것이다. 이 역시 후대에 이두로 발달한 것이다. 이 밖에 최근에 발견된 중원고구려비(中原高句麗碑, 5세기 말?)가 있다. 여기에도 이두적인 표현들이 있다. 백제에도 이 계통의 문체가 존재하였을 가능성은 충분히 있지만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신라의 삼국시대자료로는 서봉총은합우명(瑞鳳塚銀合杅銘, 451?), 울주서석(蔚州書石)의 원명(原銘, 5세기 말∼6세기 초)과 추명(追銘, 6세기 초∼중엽?), 단양신라적성비명(丹陽新羅赤城碑銘, 6세기 중엽)·임신서기석명(壬申誓記石銘, 552 또는 612)·무술오작비명(戊戌塢作碑銘, 578?)·남산신성비명(南山新城碑銘, 591?) 등이 있다. 이들의 문체는 국어적인 요소를 다분히 지니고 있는 것들이다. 이들 가운데 ‘임신서기석’은 한자를 완전히 국어의 어순으로 배열하였다는 점에서 각별한 주목을 받아왔다. 그리하여 서기체(誓記體)라는 특별한 명칭을 부여받기도 하였다. 그러나 ‘幷’·‘之’와 같은 후대의 이두자가 쓰이고 있어서 이 역시 초기적인 이두문체의 하나에 불과한 것이다. 무술오작비명과 남산신성비명도 임신서기석의 문체와 같이 완전히 국어의 어순으로 표기된 것이다. 무술오작비명에서는 之·者·在·了·作·事 등이 후대의 이두적인 용법으로 쓰였다. 남산신성비는 현재 9개의 비가 발견되었는데 그 첫머리의 명문은 모두 동일한 문장으로 쓰인 것이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辛亥年二月卄六日 南山新城作節 如法以 作後三年崩破者 罪敎事爲 聞敎令誓事之(신해년 2월 26일 남산신성을 지을 때에 만약 법으로 지은 뒤 삼년에 붕파하면 죄주실 일로 삼아 (국왕이) 들으시게 하여 맹세하는 일이다).” 여기서 우리는 후대의 이두자에 해당하는 것을 다수 확인할 수 있으니 作·節·者·以·敎·事·爲·令·之 등이 그것이다. 이 시대의 이두문들은 속한문의 성격을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그 문체는 모두 문예문이 아닌 실용문으로 쓰였다. 통일신라시대에 들어와서도 삼국시대와 같은 속한문의 성격을 보여주는 초기적인 이두문이 있다. 감산사미륵보살조상명(甘山寺彌勒菩薩造像銘, 719)·상원사종명(上院寺鐘銘, 725)·인양사비문(仁陽寺碑文, 810)·중초사당간석주명(中初寺幢竿石柱銘, 827) 등이 그것이다. 이들은 한자의 어순을 우리말 어순으로 배열하고 이두에 해당되는 글자들도 사용하고 있으나, 모두 그 본래의 뜻에서 벗어난 용법으로 쓰인 예는 보여주지 않는다. 통일신라시대의 이두문은 토(吐)가 발달한 것이 특징이다. 이 시대에 분명한 토를 보여주는 이두문 자료로는 감산사아미타여래조상명(甘山寺阿彌陀如來造像銘, 720)·무진사종명(无盡寺鐘銘, 745)·신라화엄경사경조성기(新羅華嚴經寫經造成記, 755)·신라장적(新羅帳籍, 755?)·갈항사석탑명(葛項寺石塔銘, 758)·영태2년명석조비로자나불조상명(永泰二年銘石造毘盧遮那佛造像銘, 766)·영천청제비정원명(永川菁堤碑貞元銘, 798)·신라선림원종명(新羅禪林院鐘銘, 804)·신라연지사종명(新羅蓮池寺鐘銘, 833)·규흥사종명(窺興寺鐘銘, 856) 등이 있다. 이들 중 신라화엄경사경조성기의 본문은 347자나 되는 긴 글이 자연스러운 국어문장으로 해석되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일례로 “經成內 法者 楮根中 香水 散厼 生長 令只彌”는 “경을 이루는 법은 닥나무 뿌리에 향수를 뿌려서 생장시키며”로 읽히는데, 이는 자연스러운 국어의 어순일 뿐 아니라, ‘經’·‘法’·‘香水’·‘生長’과 같은 한자어를 제하면 모두 우리의 고유어로 읽히는 것이다. 또, 이들 한자어도 차용어이므로 결국은 완전히 국어의 문장을 표기한 것이 된다. 이 조성기에 쓰인 토는 다음과 같다. 조사:者/(으)ㄴ, 以/로, 中/희, 那/나, 厼/곰. 어미:之/―다, 在之/겨다, 內之/―다, 在如/겨다, 內如/―다, (爲)哉/()재, (爲)彌/()며, 內弥/―며, (爲)內/()ㄴ, (爲)內彌/()며, (爲)內賜/(), 賜乎/온, (爲)者/(며)ㄴ, (爲)以/로, (令)只/―기, (令)只者/―긴. 기타:爲/, 令/시기(기?), 等/.

이를 표기한 차자들을 문자체계별로 보면, 음가자:賜/, 乎/온, 那/나, 只/기, 弥/며, 哉/. 훈독자:爲/, 令/시기(기?), 在/겨, 等/ㅎ, 者/(으)ㄴ, 以/로, 中/긔, 之/―다. 훈가자:如/다, 厼/곰.

과 같다. 이들의 계통을 보면 음가자 ‘那/나, 只/기, 弥/며’는 삼국시대부터 고유명사 표기에 사용되어 온 것이고, 훈독자 ‘爲/, 令/시기(기?), 在/겨, 以/로, 中/긔, 之/―다’는 삼국시대의 초기적인 이두문에서 문법적 기능을 나타내는 말의 표기에 쓰여온 것이다. 이 밖의 차자는 자료상으로는 확인되지 않으나, 삼국시대부터 쓰여오던 것이거나 그렇지 않으면 이 시대에 와서 새로이 나타난 것이다. 이로 보면 삼국시대부터 구별되어 쓰여오던 어휘표기법과 문장표기법이 이 토표기에서 합류되어 새로운 발전을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훈독자 ‘者/(으)ㄴ, 中/긔, 之/―다’는 토로 발달하면서 그 본래의 뜻이나 기능에서 벗어나 훈가자로 변하여 가는 과정을 보여주기도 한다. 또, ‘令只’는 말음첨기법(末音添記法), ‘厼’은 토표기에서 약체가 쓰이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이 표기법이 향찰로 발달하여 가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주목된다. 그러나 주격·속격·목적격 등의 조사가 쓰이지 않았고 어미의 표기도 불완전한 표기여서 이 표기법이 곧 향찰표기법이라고 하기는 어려운 것이다. 이 조성기 이후 10세기 초까지의 이두문에서 크게 새로워진 모습을 찾아보기는 힘들지만, 토표기법이 한층 발달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고려시대에 들어와서는 영암서원종명(靈巖西院鐘銘, 963)·고달사원종대사탑비음명(高達寺元宗大師塔碑陰銘, 977) 등이 속한문의 문체를 보여준다. 그러나 이두문의 표기는 조선시대의 이두문과 거의 차이가 없을 만큼 발달하였다. 고려시대 최초의 이두자료는 명봉사자적선사능운탑비음명(鳴鳳寺慈寂禪師凌雲塔碑陰銘, 941)이다. 이는 비의 음명이지만 당시 도평성(都評省)에서 내린 첩문(帖文)을 새긴 행정문서이다. 이 이두문에서는 신라시대의 자료로서는 확인되지 않던 새로운 이두와 토, 그리고 새로운 차자를 발견할 수 있는데, 특히 대격조사 ‘乙/을’의 표기가 처음 나타나는 것이 주목되고, 설명형 종결어미 ‘之/―다’는 이 첩문 이후 얼마가지 않아 쓰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사실은 이 첩문이 신라시대 이두와 고려시대 이두의 과도기적인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 밖에 고려시대의 이두자료로는 태평2년명마애약사좌상명(太平二年銘磨崖藥師坐像銘, 977)·정도사조탑형지기(淨兜寺造塔形止記, 1031)·통도사국장생석표명(通度寺國長生石標銘, 1085)·지원18년노비문서(至元十八年奴婢文書, 1281)·지정14년노비문서(至正十四年奴婢文書, 1354)·지정17년백암사첩문(至正十七年白巖寺貼文, 1357)·홍무11년백암사첩문(洪武十一年白巖寺貼文, 1378)·홍무19년남종통기의 노비문서(洪武十九年南宗通紀-奴婢文書, 1386)·이성계호적(李成桂戶籍, 1391) 등 60여 종이 있다. 이 가운데서 ‘정도사조탑형지기’는 연대가 이른 11세기의 기록이면서도 장문(長文)의 내용을 담고 있어서 이두의 다양한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이 시대에 이미 이두의 표기법이 완성되어 조선 말기까지 그 이상의 발전은 없었던 것임을 알 수 있다. 다만, 언어의 개신(改新)에 따른 변화가 있었을 따름이다. 이 조탑기는 첫머리의 발원문(發願文) 부분이 초기 이두문이고, 그 밖의 조탑과정에 대한 설명은 모두 국어의 표현으로 되어 있다. 이 조탑기 이후의 고려시대 자료들은 새로운 단어들의 예를 추가할 수 있을 뿐, 표기법이나 문체상의 차이를 찾아보기 힘들다. 다만, 이두의 사용범위가 한문에 밀려 좁아지기 시작하여 12세기 이후는 탑이나 불상 등의 조성기에서는 이두문을 발견하기 힘들다. 조선시대의 이두문은 비교적 많은 자료가 남아 있어서 자료가 부족한 고려시대나 더 나아가서는 신라시대에 이두문이 사용된 범위를 짐작할 수 있다. 문체상으로는 한문의 영향을 받아, 심한 것은 한문에다가 구결의 토를 단 것과 같은 이두문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조선 초기의 이두문으로 주목되는 것은 『대명률직해』(1395)와 『양잠경험촬요(養蠶經驗撮要)』(1415)이다. 이것은 이두문으로 백성들의 실생활에 필요한 한문을 이해하기 쉽게 하기 위하여 번역한 것이다. 이러한 번역은 훈민정음 창제 이후의 언해(諺解)와 맥이 닿는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우마양저염역병치료방(牛馬羊猪染疫病治療方)』(1541)은 한문을 이두문과 한글로 번역하였다. 이것은 당시에 이두와 한글을 쓰는 사회계층이 달랐음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조선시대에 이두문은 주로 문서로서 사용되었다. 『개국원종공신녹권(開國原從功臣錄券)』(1395)·『좌명공신녹권(佐命功臣錄券)』(1401)·『병조조사첩(兵曹朝謝帖)』(1409)은 왕이 신하에게 내리는 문서를 이두문으로 기록한 것이다. 신하나 백성이 왕에게 올리는 문서인 상언류(上言類)·정사류(呈辭類)·장계류(狀啓類)가 이두문으로 쓰였다. 또한, 관(官)과 관 사이에 주고받는 첩정문(牒呈文)·관문(關文)·단자(單子), 형조의 문서인 추안(推案)이나 근각(根脚), 민간에서 관에 올리는 원정류(原情類)·소지류(所志類), 이에 대한 관의 회답인 제사(題辭), 백성들 상호간에 주고받는 문권류(文券類)인 명문(明文)·성급문(成給文)·화해문기(和解文記)·유서(遺書) 등과 고목류(告目類)·절목류(節目類)·단자류(單子類)가 이두문으로 쓰였다. 훈민정음의 창제는 국어를 표기하기에 불완전한 이두를 정음으로 대체하고자 한 것이 그 중요한 목적의 하나였다. 그리하여 훈민정음 창제 후 이과(吏科)의 인재를 뽑을 때 정음을 시험으로 보게 하기도 하고, 세종 자신이 대간들의 죄를 의금부와 승정원에 알릴 경우에 정음으로 써서 보낸 일도 있었다. 이 밖에도 실록에 나타난 기록들을 보면 이두로 기록되어 오던 영역이 정음으로 대체된 경우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두로 기록되어 오던 영역이 한문으로 대체된 것이 있다. 세조 때에는 동반(東班)·서반(西班) 5품 이하의 고신첩(告身牒)이 이두로 쓰여 왔었는데, 한문인 이문(吏文)으로 대체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이러한 사실들은 종래 이두로 쓰여 오던 영역이 정음과 한문에 의하여 축소된 것임을 말하여 주는 것이다. 훈민정음이 창제되면서 한문·이두·정음이 공존하게 되어 이것이 나중에는 사회적인 계층과도 관계를 맺게 되었다. 즉, 선비들은 한문, 중인(中人)들은 이두, 부녀자나 서민들은 정음으로 결부시키는 관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임진왜란 때에는 왕이 백성들에게 교서를 내릴 때, 선비들은 한문인 원문 그대로 보내어 알리게 하고, 그 밖의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할 것이니 이두를 넣어 방문을 만들어 붙이고, 이것을 또 정음으로 번역하여 촌민(村民)들도 모두 알도록 하라는 기록이 있다. 이와 같이, 이두가 사회적인 계층과 결부됨으로써 『유서필지』에서는 서리들이 사용하는 문체를 ‘이서지체(吏胥之體)’라는 문체의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훈민정음 창제 이후 이두는 기실 그 존재가치를 상실하였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훈민정음 이전부터 써 내려오던 관습으로 인하여 유지되어 오다가, 사회적으로 서리계층(胥吏階層)이 형성되면서 그들의 문체로 굳어져 19세기 말 국한문혼용체(國漢文混用體)로 대체될 때까지 사용되어 온 것이다. [吏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